•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 전승담으로 본 홍천 동학농민혁명 전개 양상 (The Development of Hongche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nsidered with Orally Transmitted Stori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구비 전승담으로 본 홍천 동학농민혁명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37호 / 153 ~ 188페이지
    · 저자명 : 채길순

    초록

    민중의 입을 통해 전해진 전승담은 역사적인 사건에 대한 현장성이 담겨 있어서, 또는 희생자 유족이거나 목격자의 입장이어서 역사적 진실이 담겨 있다. 이에 비해 토벌 세력에 의해 기록된 문헌이나 관에 보고된 문건은 자신의 공을 내세우거나 문책을 피하기 위해 작성되어 역사적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시킬 여지가 있다.
    강원도 홍천 지역에 동학이 유입된 것은 1869년 3월, 2세 교조 최시형이 관의 지목을 피해 강원도 지역으로 도피하면서부터였다. 막강해진 동학 교세를 바탕으로 1893년 3월, 정부를 향해 창도주 최제우의 신원을 호소하는 보은취회에 홍천 대접주 차기석을 비롯한 강원 지역의 많은 동학교도가 참여했다.
    1894년 9월,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홍천지역 동학농민군은 다른 지역 세력과 연합하여 강릉관아를 점령하여 집강소를 설치하려 했지만 보수 향반 세력의 기습으로 패하고 3일 만에 물러났다.
    이들은 흩어지지 않고 관청 창고인 동창을 습격하여 군량을 확보하고 무장에 나섰다.
    10월 중순, 지평 맹영재가 이끄는 관민 보수연합 세력의 토벌군이 결성되어 반격에 나섰다. 첫 전투는 10월 21일 홍천군 화촌면 장야촌에서 벌어져 동학농민군 30여 명이 사망했다. 여기서 후퇴한 동학농민군은 서석면 풍암리의 작은 구릉과 진등 자작 고개에 진지를 구축하고 3일 간의 전투에서 800여 명의 희생자를 낸 채 후퇴했다. 동학농민군은 나뭇잎이 떨어진 험한 산속에서 토벌군에 맞서 유격전을 벌였지만 무기의 열세로 거듭 패했고, 결국 동학농민군 지도자 차기석 박학조 등이 체포되어 처형되면서 홍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이 막을 내렸다.
    최대 격전지였던 풍암리 주변에는 홍천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와 관련된 구비 전승담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 전승담에는 홍천 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다양하게 구술되었고, 특히 풍암리 전투에서 사망한 동학농민군의 희생 규모에 대한 전문(傳聞)과 비극성, 진등 · 자작고개에 얽힌 설화와 지명 유래담, 유해 목격담, 귀신 출몰담 등이 담겼다.
    이 같은 전승담에는 앞에서 제시한 홍천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이 온전하게 나타나고 있다.

    영어초록

    As stories orally transmitted by the people are based on facts about historic events or reflect the positions of victimized families or witnesses, they tend to let us know facts about history. Contrary to this, literatures written by punitive forces or reported by the government often exaggerate or distort historical facts in order to set force their own contributions or avoid reproachful accusations.
    Donghak was introduced to Hongcheon area in March, 1869 when Choi Si-hyeong, the second head of Donghak, escaped to Gangwon-do area. With its solidified congregation, Boeunchwihoe was held in March, 1893 to square accounts with Choi Je-woo, the first head of Donghak, and a lot of believers in Gangwon-do area including Hongcheon Daejeopju Cha Gi-seok attended it.
    Wh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occurred in September, 1894,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secured food attacking Dongchang, the storage of its government office, and got armed. Allied with forces from other regions, it drove on to occupy the government office of Gangreung but had to withdraw after three days on account of conservative Hyangban forces.
    In the middle of October, the punitive forces of conservative public-private allies were organized to counterattack. The first battle broke out in Jangya-chon of Hwachon-myeon in Hongcheon-gun on October 21st, and it killed 30 or so Donghak peasant soldiers. The Donghak peasant army that withdrew from it built its strongpoints on a small hill in Seoseok-myeon of Pungam-ri and the Hill of Jajak in Jindeung but had to be in retreat after the battle lasting for three days and leading to 800 or so victims. Inside the rough mountain covered with leaves, the Donghak peasant army confronted the punitive forces and initiated the guerrilla war but ended up defeating repeatedly. After that, the lead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cluding Cha Gi-seok and Pak Hak-jo got arrested and executed, which mad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Hongcheon come to an end.
    Around Pungam-ri, the largest ferocious battlefield of i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orally transmitted stories about the history of Hongche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y have been handed down continuously for long. The stories transmitted are mainly about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area. Also, they are particularly about the enormous scale of victim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were killed in the Pungam-ri battle, origins of the place names like Jindeung or the Hill of Jajak, witnesses of the corpses, or stories about the ghosts. The stories transmitted reflect how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developed in Hongcheon area entir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