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상(佛像)의 내력 탐색담으로 본 「등신불」 연구 (A Study of "Deongsinbul" : Examining the Background of d Buddhist Statu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3
21P 미리보기
불상(佛像)의 내력 탐색담으로 본 「등신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58호 / 29 ~ 49페이지
    · 저자명 : 방민화

    초록

    「등신불」은 액자소설로서 외부 이야기는 식민지의 학도병이 탈출하여 목숨을 구하고 정원사에 안착한 내용이다. 화자인 ‘나’는 일본 유학 중에 학도병으로 투입되었다가 탈영하여 대학 동문인 중국인을 찾아가 구원을 요청한다. 화자는 식민지의 학도병이든 탈영병이든 목숨을 보호받을 수 없는 ‘호모 사케르’이다. 화자가 진기수에게 써 보인 불은귀의라는 혈서는 식민지 지배국가의 호명을 거부하며 생명에 대한 자비심과 보살심을 구현하고자 하는 발원의 표명이다. 그것은 생사의 기로에 선 식민지 시대의 지식인 청년의 실존적 결단이다. 그런데 화자의 역사적 현실을 배제하고 불은귀의를 목숨을 보존하려는 방편으로 보고 그 귀의의 순수성을 의심하며 만적의 삶과 비교하여 자아탐색담으로 해석된다. 그런 평가는 역사적 맥락을 생략한 채 화자와 만적을 구명(救命)과 사신(捨身)으로 대조적으로 보려는 데에 기인한 것이다. 이 작품을 자아 탐색담이 아니라 등신불의 내력 탐색담으로 보고 작품을 재조명했다.
    정원사로 가는 산행은 악의 세계를 떠나려는 의지이고 지상의 상황에 대한 거부이며 그것은 곧 등신불을 만나는 여정이다. 법당의 불상과 금불각을 관조하는 상세한 서술은 화자가 등신불을 친견하고 그에 대한 충격을 그리기 위한 밑그림이다. 화자에게 불상은 관세음보살의 미소로 이상화되어 있는데 고뇌와 슬픔이 아로새겨진 상호를 한 등신불을 보고 충격 받는다. 등신불이 심미적인 상호가 아니고 인간적인 상호인 것에 의문을 가지며 만적의 일생을 추적하며 불상의 내력을 탐색하는 것이 내부 이야기이다. 만적의 행적을 탐사한 화자는 생사불이(生死不異)의 이치를 깨치고 보살심을 구현한 등신불에 인간적인 오뇌와 슬픔이 새겨질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이해하고 비로소 부처로 받아들이게 된다.
    만적의 소신공양의 내력을 알고 있는 원혜 대사는 화자가 쓴 혈서의 진정성을 믿고 있으므로 두 인물을 등가적으로 받아들인다. 그것은 원혜 대사가 “불은(佛恩)이로다”고 한 말이 방증한다. 소신공양은 생사불이(生死不異)를 깨닫고 육신이 참된 나라는 유신견(有身見)에서 벗어났음을 말한다. 그래서 화자가 등신불을 부처로 받아들이게 되는 지점에서 원혜 대사의 화두가 제기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Deongsinbul" is a frame story that juxtaposes two stories. The two characters in the story are usually dualistically structuralized and analyzed. This study discussed the problems risen by this method of study to reinterpret the work.
    The speaker ‘I’ is a Korean student soldier in the costumes of a Japanese soldier, but runs away from the army to ask a Chinese person for rescue. The blood letter written by this Homo Sacer that said 'Buddha’s blessings' is the existential determination of a young intellect who lived during the time of colonization after desperate contemplation between life and death. The criticism that the speaker is a selfish person who solely sought to save his life regardless of the reality of colonialization was the result of comparing Manjeok and ‘I’ within a frame.
    For the speaker, the Buddhist statue is idealized by the smile of Goddess of Mercy, but he is shocked by the life-sized Buddha. He observes Manjeok's self-immolation and understands why the life-sized Buddha has to reflect human agony and sadness to accept it as Buddha.
    Great Priest Wonhye trusts the authenticity of the story how the speaker became a gardener and his blood letter. As he knows about Manjeol's self-immolation, the two characters are perceived equally.
    "Deongsinbul" portrays the image of mankind that implies god and supports the form of life pursuing the enlightenment of ultimat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