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원구 산업론의 역학적 체계 (The Concept of Industry in Yi Wongu's Philosophy: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I Chi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2
23P 미리보기
이원구 산업론의 역학적 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1호 / 47 ~ 69페이지
    · 저자명 : 이선경

    초록

    일수 이원구는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에 활동한 역학자이자 실학자이다. 그는 당시 사회의 모순이 인륜과 산업의 괴리에 있다고 진단하고, 역의 건곤음양론을 통해 양자를 통합하는 이론을 구축하였다. 그는 특히 ‘산(産)’의 가치를 재인식해야 함을 역설한다. 동시에 산업은 인륜을 실현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산’의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과 인륜의 실현은 대립관계가 아니라 상호 뿌리가 된다. 산업을 통해 인륜을 실현해야한다는 그의 산업론은 역학적으로 곤도(坤道)중심체계를 형성한다. 그의 곤도는 건도(乾道)를 수용하여 완성하는 의미로서, 종래 건도를 주(主)로 곤도를 종(從)으로 보는 것과는 관점이 다르다. 그가 곤도를 중심으로 건곤을 통합하는 논리와 산업을 중심으로 인륜과 산업을 통합하는 논리는 같은 궤도에 있다. 첫째는, 인륜과 산업의 관계를 인의의 관계로 보는 것이다. 역학적으로 건도가 ‘인(仁)’이라면 곤도는 ‘의(義)’라 할 수 있는데, 이때의 ‘의(義)’는 건도의 ‘인(仁)’을 적절히 조절하여 완성한다[財成輔相]는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이 곤도로서 산업은 인륜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한 인정(仁情)으로서의 인륜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인술(仁術)이 된다. 둘째는, 건원(乾元)과 곤원(坤元)의 소통성이다. 천지를 상징하는 건도의 원(元)과 곤도의 원(元)은 두 개의 ‘원’이 아니라 동질의 것이며 그 내용은 ‘인(仁)’이다. 일수에 있어서 인륜과 산업의 매개고리는 ‘인(仁)’이다. 인륜과 산업은 ‘인정’과 ‘인술’로서 ‘인(仁)’을 공통분모로 한다. 인륜과 산업을 인의(仁義)의 관계로 보고, 의(義)를 통하여 인(仁)을 완성하는 것으로 보듯이, ‘의’로서의 산업은 인륜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 산업에는 구체적 여섯 조목인 육사(六事)가 있는데 그 첫째 조목이 권(眷)이다. 권(眷)은 인술(仁術)의 근원으로서 인륜구도(人倫九道)가 뿌리박고 있는 곳이자, ‘육사’전체를 관류하는 정신이다. 권(眷)은 ‘아끼고 돌보아 잊지 않음’의 뜻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인(仁)의 구체적 발현임을 알 수 있다. 권(眷)의 위상은 곤원(坤元)과 같다. 즉 ‘권’으로 표출된 인(仁)이 산업으로서 육사의 각 조목을 관류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계사전」의 ‘형이상의 것을 도라 하고, 형이하의 것을 기라 한다’는 구절에 대하여, 도(道)란 다름아닌 ‘기(器)를 다하는 것’이라 한다. 이는 기(器)의 입장에서 도(道)를 통합하려는 사유로, 그의 곤도 중심적 산업론의 입장을 잘 드러낸다. 사상사적 관점에서 일수의 곤도 중심적 산업론은 실학의 입장에서 성리학적 도학과의 통합을 도모하고, 이용후생의 실학에 그 철학적 기반을 부여하는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Yi Wongu was the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He is the I-Ching specialist and his academic tendency is pragmatic. He diagnosed the problem of his period was due to the disruption of industry and Humanity(moral laws). Therefore, he set up 乾坤陰陽論 (Qian Kun Yin Yang theory), which can integrate the both. Humanity and industry are not in conflictual relationship but they are complimentary. His theory of industry is centered on ‘坤 (Kun)’,which symbolizes the earth. In this regard, his theory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who admired ’乾 (Qian)’.
    According to him, ‘Qian’ means directivity of value and ideology, which is achieved by Kun’s activity. So, Humanity and industry are not to be separated. Without industry, Humanity will not be able to be realized. Generally, ‘實學 (pragmatic thought)’ set more value on industry than on Humanity. However, Yi Wongu asserted the integration of industry and Humanity and opened up a new era of pragmatic thought in late Chosu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