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달의 정체성으로서의 장인에 관한 연구: 숭의동 목공장인의 작업장 들여다보기 (A Study on Craftsmanship as Identity of Mastery: Observing Sungui-dong Workplace of Woodwork)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숙달의 정체성으로서의 장인에 관한 연구: 숭의동 목공장인의 작업장 들여다보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4권 / 6호 / 597 ~ 625페이지
    · 저자명 : 권미애, 손민호

    초록

    이 연구는 학습의 결과 도달하게 되는 상태인 숙달에 관해 이해하고자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어느 목공장인들의 작업장을 참여 관찰하였고 분석은 민속방법론에 의존하였다. 장인이 사물을 다루는 방식을 중심으로 일의 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장인의 작업 안에서 숙달된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신들의 작업장 안에서 장인들 제각각의 실천이 어떻게 보편적 가치와 개성적인 스타일을 성취하게 되는지 보고자 하였다. 사물의 결 그리고 상황적 요구에 세심하게 반응하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작업은 일상적이고 직관적이며 임시변통적인 변주의 연속으로 전개되었다. 장인의 면모는 그가 발휘하는 솜씨를 통해 작업대나 연장과 도구, 목재, 일감 등 객체들의 배치와 상호작용하며, 작업장이 갖는 장소감과 더불어 시간의 사용법 등 그만의 암묵지를 넘어서서 그의 삶과 생활세계에 깊숙이 스며들어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장인의 숙달은 그를 둘러싼 작업과 작업장이라고 하는 생활세계가 반영된 결과이고 그러한 작업장과 작업 과정 속에서 그의 정체성이 어떻게 생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체와 객체 간 경계의 넘나듦 양상은 경험학습에 관한 우리 이해를 확장하는 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the mastery as one of the learned states. For this purpose, craftsman’s workplace was observed by researchers and the analysis depended on ethnomethodology.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the work based on the manner in which the craftsman handles things, we tried to explore what conditions would enable the mastered condition in the work of the craftsman. In addition, we tried to identify how the different practices of individual craftsmen in their workplaces achieve universal values and styles. The state of flexible mastery, which reacts sensitively to the texture and contextual needs of things, is too ordinary, intuitive to be said knowledge and it is rather succession of variation. Beyond the demonstration of craftsman’s skills, the appearance of the craftsmen interacts with configuration of the objects such as workbenches, tools, timbers and work pieces and it even pervade the living and life-word including sense of place in workplace and direction for use of time. The mastery of the craftsmen reflects their work and life-world surrounding them, which is their workplace, and again the craftsmen builds their own life-world. It is expected that the boundary crossing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will give implications that what condition is needed for the learning and reproduction of the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