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西岳 旦那山과 慧顯의 修德寺·達拏山寺 (Sŏak Tanna Mountain of Baekje and Hyehyŏn’s Sutŏk Temple and Tallasan Templ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6.12
43P 미리보기
百濟 西岳 旦那山과 慧顯의 修德寺·達拏山寺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84호 / 303 ~ 345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웅

    초록

    백제는 성왕 때에 梁 武帝를 모델로 삼아 陸詡의 예학과 謙益의 불교를 받아들여 체제의 정비를 시도하면서 제사 체계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였다. 이때 확립된 지방 五岳 祭祀의 의미에 대해서는 『尙書(書經)』 舜傳에 나타나는 四仲月의 巡守와 지방 山川에의 제사 및 신라의 「진흥왕순수비」를 통해 이와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法王代에 이르러서는 五岳 祭祀의 祭場에 불교사원이 세워진 것으로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같은 시기에 수 문제가 五岳에 각각 僧寺 한 곳씩을 세우라는 조서를 내린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지방의 주요 山神에게 지내던 토착신앙의 제사를 국가제사로 편제한 五岳 祭場이 불교사원화하고 변화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西岳 旦那山과 慧顯의 北部 修德寺에서 南方 達拏山寺로의 이동을 통해 살폈다. 여기서는 특히 『海東高僧傳』 釋摩羅難陀에 기록된 성인이 머무는 산(聖住山)과 月岳에 대한 부분을 기존에 北岳 烏山(성주산) 오합사와 연결시켜 보았던 것과는 달리 보면서, 이를 혜현이 머물렀던 西岳 旦那山 達拏山寺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혜현은 관음신앙과 사회 통합적인 法華思想을 강조했다는 점을 통해, 불교 이념이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중앙의 통치 이데올로기가 자연스럽게 전파된다는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백제는 도성 중앙에서 이루어진 天 제사와 도성 외곽에서 이루어진 五帝 제사가 四仲月에 행해졌는데, 巡守를 통한 지방통치의 의미도 지니고 있는 五岳 제사의 시기 역시 四仲月로 볼 수 있으므로, 중앙과 주변, 지방의 제사가 서로 관련을 가지면서 함께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국가제사의 제장이 불교사원화되면서, 도성 중앙과 외곽, 지방의 사원 역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면서 통합된 불교의례의 공간이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聖王), Baekje reorganized state rituals into Confucius style rituals in the process of aligning government systems with imported Luxu(陸詡)’s studies of etiquette(禮學) and Qianyi(謙益)’s Buddhism, modelling Emperor Wu(武帝) of the Liang(梁) dynasty. The meaning of Five Sacred Mountains(五岳) outside the capital systemized at that time was similar to state rituals regularly held in the month of the season(四仲月 ;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in a biography of Shun(舜傳) in ##Shangshu##, and circuit in rural regions in “an epigraph of King Chinhŭng(眞興王巡狩碑)” of Silla. Later, it is likely that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at ritual sites for Five Sacred Mountains during the reign of King Pŏp(法王) It is also possible that there was a connection to the fact that Emperor Wen(文帝) of Sui(隋) send his royal rescript to order to build temples in each of Chinese Five Sacred mountains at the same time.
    Then this paper analyzed phenomenon that the process of ritual sites for Five Sacred mountains turning into Buddhist temples through Sŏak Tanna Mountain(西岳 旦那山) and Hyehyŏn(慧顯)’s journey from Sutŏk Temple(修德寺) of Pukpu(北部 ; the Northern Part) to Tallasan Temple(達拏山寺). This part specifically emphasized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researches’ perspective that they generally interpreted the part that the mountain a saint lives(聖住山) is connected to O Mountain(烏山) of Pugak(北岳) in interpretation of Maranant’a(釋摩羅難陀) of Haetonggosŭngjŏn(海東高僧傳) ; namely, this paper viewed that the mountain is Sŏak Tanna Mountain. Hyehyŏn were Buddhist monks who emphasized on the ideas of the Lotus Sutra(法華思想), which were strongly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the ruling ideology of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easily spread out to rural areas with expanding Buddhism.
    The state rituals for Heaven in the capital of Baekje, and rituals for Five Emperors in rural areas were held in the month of the season. As the rituals for Five Sacred Mountains were possibly held in the same time, the rituals of the capital, its outskirts, and rural areas were progressed with a connection. The state rituals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order to incarnate a zone of Buddhist ceremony with the capital and every directions linked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