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스칼 랑베르(Pascal Rambert)의 희곡언어와 특성 - 『사랑 닫다(Clôture de l’amour)』를 중심으로 (Langage théâtral de Pascal Rambert et ses caractéristiques à travers Clôture de l’amou)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3.11
25P 미리보기
파스칼 랑베르(Pascal Rambert)의 희곡언어와 특성 - 『사랑 닫다(Clôture de l’amour)』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124권 / 97 ~ 121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임재일

    초록

    미국, 남미, 유럽, 러시아, 아프리카, 아시아 등을 넘나들며 활동하는 프랑스 극작 가이자 연출가인 파스칼 랑베르의 Clôture de l’amour는 출판과 동시에 65회 아 비뇽 국제연극페스티벌에 공식작으로 초청되어 시작부터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작품이다. 원작자 파스칼 랑베르가 연출하고 오드레 보네(Audrey Bonnet, 1975∼)와 스타니슬라스 노르데(Stanislas Nordey, 1966∼)가 주연한 작품이다. 이 희곡은 23개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180회 이상 공연되는 등 세계적인 작품이 되었다.
    연극은 말이자 몸이라는 인식이 지금은 보편화되어있지만 역사적으로 프랑스의 연극은 글(언어) 중심이었다. 프랑스에서 희곡작가는 시인이라고 여겨졌고, 희곡 자체도그 자체로 시이고 문학이라 여겨진 반면, 한국에서의 시는 드라마로서 발전하지 않았고, 그림과 음악과 합쳐져 고유한 예술성을 갖게 되었다.
    연극이라는 매개체는 두 나라 문화 사이의 접점 및 교차점을 가시화한다는 특성이있고 미시적인 방법에서 시작하여 거시적인 이론을 유추해낸다는 점에서 현대 인문학연구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출발어와 도착어 사이의 거리를 통해 언어와 문화의 접점 및 교차점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희곡 번역작업; 희곡을 육화하는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배우들의 접근 방식; 작품을 해석하고 무대화하는연출 방법; 관객의 수용성 등이 그것이다.
    이 원고에서는『사랑 닫다(Clôture de l’amour)』라는 희곡을 통해 한국과 프랑스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무대화 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한국뿐 아니라 프랑스 연극학계에서도 랑베르의 작품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새로운 작가 및 연출을 통해 한불연극학 및 두 나라의 언어문화예술연구에 새로운 소재와 주제를 제공하는 가치도 있다. 이 원고는 또한 프랑스 대학에서 연구하고 가르친 경력, 프랑스 국립극에서 프로페셔널로 활동한 경험, 특히, 파스칼 랑베르와 아르뛰르 노지시엘과의 작업등에 참여하며 직접 관찰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영어초록

    Pascal Rambert est un dramaturge français, metteur en scène et chorégraphe qui travaille dans le monde entier dont aux États-Unis, en Amérique du Sud, en Europe, en Russie, en Afrique et en Asie, etc. La Clôture de l’amour a été montée dès sa publication officielle au 65e Festival d’Avignon IN : Rambert l’a met en scène avec ses deux acteurs de préférence Audrey Bonnet (1975-) et Stanislas Nordey (1966-).
    Depuis son succès, cette pièce a été traduite plus de 23 langues et a été jouée plus que 180 fois dans le monde.
    Le théâtre est à la fois personnel et culturel et il s’incarne un certain “habitus” (Bourdieu) des sujets donnés. Bien que le théâtre est perçu aujourd’hui comme un art à la fois corporel et littéraire, il n’était pas ainsi dans l’histoire de la France car pendant longtemps, le théâtre a été considéré comme un art de la parole en France si bien qu’un auteur du théâtre était appelé comme un poète dramatique. Une telle culture n’existait pas dans le monde spectaculaire coréen classique.
    Le théâtre permet de concrétiser et visualiser les croisements artistiques et culturels entre les différentes sociétés d’une manière palpable à travers la traduction, les jeux d’acteur, la direction de la mise en scène et la scénographie, etc. L’étude théâtrale est en effet appréciée en tant qu’une méthode académique qui permet d’aller du concret à l’abstrait au sens Marcel Mauss du terme.
    Dans cet article, nous avons travaillé et constaté les points de rencontre et d’écart entre deux langues et cultures en observant la production théâtrale de la Clôture de l’amour de Pascal Rambert. Cette étude a été réalisée après une recherche à la fois théorique et pratique en France et en Corée en tant que chercheure, traductrice et actrice auprès de deux artistes concernés : Pascal Rambert et Arthur Nauzyci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프랑스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