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직공원 조성과 사직단을 둘러싼 ‘개발’과 ‘문화재보호’ 담론의 대립-일제시기부터 1960년대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Conflict over Development and the Discourse o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urrounding the Sajik Dan and Sajik Park Construc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0.06
34P 미리보기
사직공원 조성과 사직단을 둘러싼 ‘개발’과 ‘문화재보호’ 담론의 대립-일제시기부터 1960년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38권 / 137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자

    초록

    사직단 및 사직공원은 해방 이후에도 정체성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는 대표적 문화유적 중 하나이다. 일제시기 사직단의 훼손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사직단의 기능을 정지시킨 것 외에도 사단과 직단, 두 단만 남기고 나머지 시설물들을 철거, 원형을 거의 찾을 수 없게 만든 것, 그리고 공원으로 조성하면서 신성시되었던 제의공간을 위락공간으로 만든 것이다. 사직단의 원형은 일제가 패망되고, 해방된 이후에도 6.25 전쟁 등 시대 상황의 급변 등으로 방치된 채 복원되지 못하였다. 특히 1960년대는 도시계획에 따른 ‘개발’에 밀려 사직단의 중심 요소들이 더욱 축소되거나 변형되었다. 사직정문은 도로건설계획에 의거, 보행자 및 운전자들의 운행을 위해 이전되면서 사직단으로 들어가는 ‘문’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사직단 복원 관련 논의들은 현재뿐 아니라 해방 이후 1960년대의 ‘개발’과 ‘문화재보호’ 담론의 대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일제시기 변형된 공간들의 복원 및 정체성 확립을 둘러싼 담론의 고찰은 탈식민 문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기도 하다.
    사직공원 및 사직단의 정체성 회복을 둘러싼 논의들은 큰 틀에서 ‘민족’ 담론과 ‘개발’ 담론의 대립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일제 식민시기를 거치면서 왜곡, 변형된 상징공간의 정체성 회복 과정의 지난함을 살펴보는 데도 유용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ajik's symbolism was undermined when the Sajik became a historical site without its “unique” role due to the abolition of Japanese rit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ark. Even after liberation, Sajik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spaces that did not find its identity.
    The most serious of the damages of the Sajik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besides suspending the functions of the Sajik, resulted in making the archetype and the altar, two stages almost impossible to find the original form, and changing the sacred ritual space into an amusement space by constructing a park. .
    The archetype of the Sajik was left unchanged due to the sudden changes of the times, such as the Korean War, even after the defeat of Japan. In particular, in the 1960s, the central elements of the Sajik was further reduced or transformed by 'development' according to city planning. The Sajik Main Gate is representative. The Sajik Main Gate has reached the present time, losing its function as a “gate” due to the city planning.
    The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the Sajik and the Sajik Park is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historical value' and 'presentity'.
    The debates surrounding the recovery of the identity of the Sajik show the oppositional character of the "national" discourse and the "development" discourse in the larger framework.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a useful topic to look at the past of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symbol space, which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scussions on reinstatement of the Sajik show the conflict between the present and the discourse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to liberation from the 1960s and 1970s.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 of discourse surrounding the restoration and identity of the transformed spa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so examines various perceptions of the post-colonial problem.
    In addition, looking at the issue of identity recovery in relation to colonial liquidation,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national’ and ‘public’, will not only provide an accurate recognition of the 'era' in which discourse is raised, but will als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identity 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