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긴급구조통제단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긴급구조통제단과 재난안전대책본부의 조직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 (Operational Problems of Emergency Rescue Control Headquarters and Improvement Measur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Organization Cultures in Emergency Rescue Control Headquarters and Central Disast)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3.09
18P 미리보기
긴급구조통제단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긴급구조통제단과 재난안전대책본부의 조직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수록지 정보 : Crisisonomy / 9권 / 9호 / 67 ~ 84페이지
    · 저자명 : 양기근, 류상일

    초록

    본 연구는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중에서도 재난안전대책본부와 긴급구조통제단 양 기관 간의 조직구조 및 조직문화의 상의성에서 초래되는 긴급구조통제단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극복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째,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에서는 일반직 공무원에 비해 소방직 공무원이 권위지향 문화와 전문지향 문화 및 관계지향 문화 인식을 보인 반면, 일반직 공무원은 상대적으로 과업지향 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 규범성 인식에서는 재량권, 승진경로, 제복착용, 전문성 인식에서 소방직과 일반직간에 인식차이가 있다. 즉, 일반직 공무원들이 소방직에 비해 더 많은 재량권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승진경로의 경우에도 일반직이 더욱 다양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또한, 제복착용에 있어서도 일반직이 비교적 자유롭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긴급구조통제단(소방직)과 재난안전대책본부(일반행정직)간 조직문화가 다른 이유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결과, 업무의 현장성, 실무성, 그리고 특수성으로 인하여 조직문화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문화의 상이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조직문화를 알아 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상호간의 접촉빈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두 기관 간의 활발한 인사교류(파견 등), 공동참여 훈련의 정례화, 유관기관 간의 비공식 모임의 활성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al problems facing the Emergency Rescue Control Headquarters, which arise from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cultures of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Emergency Rescue Control Headquarters among the problems inherent in nat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to derive the countermeasures to overcome such problems. First, in relation to the awareness towards the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servants in fire-fighting sector showed higher awareness towards the authority-oriented culture, specialty-centric cultu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compared to the public servants in ordinary sectors who showed relatively high awareness towards the task-oriented culture. Second, a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the public servants in fire-fighting sector and public servants in ordinary sectors in terms of the awareness towards discretionary power, promotion path, uniform-wearing, and specialty or professionalism in connection with the awareness towards the organizational norms. In other words, public servants in ordinary sectors considered that they had more discretionary power and more diverse promotion paths than the public servants in fire-fighting sector did. In addition, the public servants in ordinary sectors considered that they were relatively more free in wearing the uniform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that looked into the reason behind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ulture between the Emergency Rescue Control Headquarters (comprised of public servants in fight-fighting sector) and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consisting of public servants in ordinary public administration sector)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 culture arose from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practicality, and specialty. Both organizations need to increase the contact mutually because it is deemed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other organ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ulture. Thus, both organizations need to explore a series of measures, such as the active exchange of personnel(dispatch, etc), regular co-training, promotion of informal gatherings among relevant organizations,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risisonom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