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 세대 담론의 단일한 청년 모습 다각화하기: 성별, 정치성향, 계급과 학력을 통한 세대 담론 극복 (Diversification of the Single Image of the Youth in Generation Discourse: Overcoming Generation Discourse through Gender, Political Orientation, Class and Education)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2.12
56P 미리보기
청년 세대 담론의 단일한 청년 모습 다각화하기: 성별, 정치성향, 계급과 학력을 통한 세대 담론 극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7권 / 4호 / 5 ~ 60페이지
    · 저자명 : 이진철

    초록

    청년 세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대 담론이 유행하고 있으나 청년 세대가 하나의 세대로 구분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은 해결되지 않았으며 청년의 동질성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담론의 결함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언론의 청년 세대 담론과 실제 사회 조사자료를 비교하였다. 지난 5년간 주요 언론사를 통해 보도된 청년 세대 관련 기사 5,901건을 수집하여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청년의 주거, 일자리, 젠더 문제가 담론의 주가 되고 있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성별이나 학력, 지역 격차들은 기사에서 드러나지 않았다. 이를 사회문제 심각성에 대한 쌍대비교 조사(N=1,002) 중 주택마련, 청년 일자리, 여성대상 범죄 문제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 문제들에서 오히려 청년들의 성별, 정치성향, 학력에 따른 태도의 분화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세대론으로 환원시키지 않고 청년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여 사회 문제 인식 양상을 5개의 잠재 차원으로 분류하였을 때 저연령 응답자들이 ‘여성범죄 및 안전문제’를 중시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응답자들의 특성에 따른 문제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성별, 정치성향, 소득, 학력에 따라 응답자들의 잠재 변수 값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세대 구분에 그치지 않고 성별, 정치성향, 소득, 학력과 같은 요인이 여전히 중요하며 세대 요인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terest in the youth generation is increasing and generational discourse becomes popular, but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the youth generation can be divided into one generation has not been resolved and only emphasizes the homogeneity. This study compared the discourse of the youth generation in the media and actual social survey data.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by collecting 5,901 articles related to the youth generation reported through major media over the past five years, it was confirmed that housing, jobs, and gender issues of youth generation became the main discourse, but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gional gaps were not revealed in the article. This result was compared to the problems of housing, youth jobs, and crimes against women among the randomized paired comparison survey on the seriousness of social problems (n=1,002). As a result, in these problems, the differentiation of choices according to gender, politic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youth was evident. Next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youth without reducing it to the generation discourse, structural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and social problem recogni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ive potential dimensions. It was confirmed that low-age respondents tended to value ‘women's crime and safety issues’. In addition,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roblem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latent variable of the respond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political orientation,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t can be found that factors such as gender, political orientation,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re still important and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generation factors, rather than simply dividing the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