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세기 중반 羅日關係의 推移와 金泰廉 使節團의 渡日 (Transition of Silla-Japan Relations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the Kim, Tae-ryeom Mission to Japan)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0.02
45P 미리보기
8세기 중반 羅日關係의 推移와 金泰廉 使節團의 渡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8권 / 1 ~ 45페이지
    · 저자명 : 야마다후미토

    초록

    8세기 중반 신라와 일본의 관계는 정치적 긴장이 표면화된 상태에 있었다. 735년 2월, 신라 조정은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여 자국이 “王城國”임을 표방하자 일본 조정은 사신을 돌려보냈다. “왕성국”은 신라가 당의 제후국임을 표방한 상징적 표현으로서, 천황을 중심으로 한 독자적 세계관을 가지는 일본에 대해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자국이 우위에 있음을 확고히 하는 데 작용하였다. 이후 양국 사이에 외교 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하는 등 정치적 긴장이 표면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752년에 약 9년 만에 양국 간의 외교가 진행되었다. 이때 신라는 왕자 김태렴을 필두로 한 700여 인이라는 사상 최대의 규모를 갖춘 사절단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김태렴 사절단은 신라 사신으로서 약 17년 만에 일본의 京에 들어가 교역 활동을 비롯한 외교를 진행하였다.
    김태렴 사절단에 관한 기록을 보면 대체로 그들이 일본에서 朝貢國으로서의 禮를 갖추어 외교를 진행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김태렴 사절단이 파견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와 같은 외교 방식을 취하였다고 이해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해는 일본 율령법의 이념에 의해 윤색된 기록을 근거로 도출된 것이다. 일본 측 사료에는 김태렴 사절단이 상위 국가로서의 예를 갖추어 일본과의 외교를 진행하였다는 기록이 확인되나, 기존 연구에서는 이를 간과해 왔다.
    일본 조정은 김태렴 사절단에 대해 외교 방식에 관한 요구 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는 752년 4월에 거행된 東大寺 大佛開眼會를 통해 형성된 새로운 세계관에 입각한 것으로서, 신라에 대해 조공국으로서의 예를 갖추도록 요구한 것이다. 그러나 신라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종래의 대일 외교 방침을 유지하였다.
    김태렴 사절단의 도일은 일본 조정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관련 사료에 따르면 신라 조정은 김태렴 사절단을 파견하여 요청된 물품을 전달하는 동시에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교역 활동을 전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라 조정의 정치적 의도에 따른 것으로서, “왕성국” 표방 이래 일본과의 사이에 표면화된 정치적 긴장 속에서 다시금 자국의 문화적․권위적 우위성을 과시하며, 나아가 대내적으로도 왕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었다.

    영어초록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political tensions had surfaced in Silla-Japan relations. In February 735, the court of Silla claimed that his country was a "Wand Seong Guk" through his messenger, and the Japanese court sent his messenger home. “Wand Seong Guk” is a symbolic expression that advocates that Silla is a Tang lord, and its own country is superior to Japan, which has its own world view centered on the Emperor,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Worked to ensure that Later, political tensions surfaced, with a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diplomatic systems.
    Under these circumstances, diplomacy between the two countries took place in 752 for the first time in about nine years. At this time, Silla dispatched the largest mission ever in Japan, with about 700 people led by prince Kim, Tae-ryeom. The Kim, Tae-ryeom Mission entered the capital of Japan for the first time in about 17 years as an ambassador to Silla and conducted extensive diplomacy, including extensive trad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Kim, Tae-ryeom Mission, they stated that they had advanced diplomacy in Japan as the Empire. It has been understood in previous research that Kim, Tae-ryeom's diplomatic approach was used to achieve the mission purpose. However, the record of the Kim, Tae-ryeom Mission is not likely to convey the actual situation, because it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Japanese Ritsuryo Law, centered on the Emperor. In fact, it has been confirmed in the Japanese archives that the Kim, Tae-ryeom Mission adopted a diplomatic system as a high-ranking nation and advanced diplomacy with Japan.
    The Imperial Court of Japan has presented the mission to Kim, Tae-ryeom with diplomatic requirements. This was based on a new world view form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Great Buddha Eye of Todaiji Temple in April 752, and demanded that Silla establish a gratitude as a tributary country. However, Silla did not accept this, and maintained its foreign policy with Japan, which has been adopted since the "Wand Seong Guk Case".
    The arrival of the Kim, Tae-ryeom Mission to Japan was at the request of the Japanese court. The Shilla Imperial Court dispatched the Kim, Tae-ryeom Mission to send the requested goods and at the same time conduct trade activities to pursue economic benefits. The dispatch of a large delegation, led by the Prince, was due to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Silla Court. It was to show off and to increase the status of the kingdom in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