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민속축제의 기원에 대한 고찰 -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A review of the origin of the traditional folk festival. -With Gangneung Danoje as the center-)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2.04
24P 미리보기
전통 민속축제의 기원에 대한 고찰 -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형유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무형유산학 / 7권 / 1호 / 245 ~ 268페이지
    · 저자명 : 안광선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전통 민속축제의 기원에 대한 탐색이다. 제천의례 무천의 흔적이 강릉에 전승되는 민속에 뿌리 깊이 안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려는 의도이다. 이를 위해 부여와 고구려를 비롯한 동예와 옥저 그리고 예 등 고대사에 등장하는 국가들의 풍속과 언어 등을 통하여 민속적 동질성과 고조선의 후예임을 확인하였다.
    고조선에서 무천을 행했다는 토원책부 의 주석은 공동체 의례에 대한 해석 영역을 확장시켰다. 단군신화를 예의 문화권에 접목할 수 있어 강릉의 공동체 의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폭을 넓혀 주었다.
    문헌을 통해 강릉지역이 예의 땅이었으며 예국고성이 존재했었고, 도심 한복판에 호가촌, 호가리라는 지명이 전승되어 호신앙의 잔재를 확인하였다. 지역에 전하는 창해역사 신화는 강릉지역의 고대사를 함축하고 있다. 무천은 지역의 공동체 신앙의례이고 축제였으나 창해역사로 대변되는 신진세력의 등장으로 소멸하고 새로운 신앙체로 교체되는 모습을 추정할 수있었다. 이에 따라 강릉의 공동체 신앙의례가 10월 무천에서 5월 단오로 이동하는 단초를 짚어본 것은 이번 연구의 백미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origin of traditional folk spring festival. The intention is to confirm that the traces of Mucheon Ritual are deeply rooted in the folklore handed down in Gangneung. To this e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descendant of folk homogeneity and Gojoseon through customs and languages of countries appearing in ancient history such as Buyeo and Goguryeo, Dongye, Okjeo, and Ye. The remarks of the "Towonchaekbu" that carried out Mucheon at Gojoseon expanded the interpretation of the sense of community. Dangun mythology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ultural sphere of Ye,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in analyzing Gangneung's community ritual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Gangneung area was a land of courtesy, and Yegukgoseong Fortress existed, and the names of Hogachon and Hogari were handed down in the middle of the city center, confirming the remnants of the tiger-belief. The myth of Changhaeryeoksa conveyed to the region implies the ancient history of Gangneung. Muchen was a local community ritual and festival, but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at it disappeared due to the emergence of new forces represented by the Changhaeryeoksa and was replaced by a new faith. Accordingly, it is the highlight of this study that Gangneung's community beliefs move from Mucheon in October to Dano in M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형유산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