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의 만주지역 자위단 조직과 활용 (An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elf-Defense Corps by Japanese Empire in Manchuri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6.11
31P 미리보기
일제의 만주지역 자위단 조직과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56호 / 113 ~ 143페이지
    · 저자명 : 이양희

    초록

    일제는 경찰의 지휘 아래 친일적 자위단 조직을 확대시켜 촌락의 치안보조기관으로 이용했다. 만주지역의 자위단은 한국독립운동의 근거지이자 한인이 대부분 거주하고 있었던 동북 3성에서 주로 조직되었다. 3·1운동 이후 일제는 만주지역 한인 통제를 위해 본격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조선인민회를 확장·증설하는 한편 친일적 한인으로 구성된 무장단체를 조직해 일본영사관 감독 아래 두었다. 대표적으로 保民會, 養生契, 鮮民部, 韓僑同鄕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체는 호구조사, 한인동향 정보 수집, 독립운동가에 대한 귀순공작, 통역 및 통신연락 등을 비롯해 항일세력 탄압에 동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위단체들은 임시방편에 불구한 것이었기 때문에, 일제는 만주지역의 한인 사회를 통제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일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만주지역 자위단에 관한 규칙을 제정했다. 이를 근간으로 일제는 한인 자위단을 조직해 일본영사관경찰 아래 두고 對한인 회유·탄압 정책에 활용했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 각 지역의 치안이 불안해지자 1932년 1월 1일 奉天에서 ‘殲匪運動會’가 발족되었다. 이에 참여한 봉천의 각 기관장과 단체장들은 관동군사령관에게 자위단 설치안이 포함되어 있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자위단의 설치와 운영은 縣단위 자치집행위원회의 감독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1932년 5월 이후 진행된 자위단 조직과정에서 자치집행위원회 설치는 제외되었다. 일제는 자위단을 현지 일본영사관 감독 하에 두고 재만 한인 사회를 직접 통제하고자 했다.
    자위단은 지역유지와 조선인민회장 등의 협력을 통해 촌락마다 설치되었다. 단원은 만주인과 한인 청년 20~4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위단에 대한 지휘·감독권이 縣長에게 있었지만 임원의 임면과 재정운영을 위해서는 일본영사관의 합의가 있어야만 했다. 자위단은 근무상태와 훈련 성적에 따라 총기를 대여할 수 있었으나, 총기사용 소질 심사와 훈련을 받되 일본인이 아닌 경우 ‘친일 인사’라는 증명이 있어야 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었다.
    1932년 한국독립운동단체, 공산당 등 항일세력 토벌에 동원된 일본 군경 관련 인원 중 자위단원은 전체 약10.5%에 해당하는 1,336명이었다. 1933년에는 1,959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들은 1932년 6월 이후 1933년까지 적어도 107회 이상 한국독립운동을 탄압하는 데 동원되었다. 이들은 일본 군경이 間島·琿春 지역 항일 한인 검거율을 2.7배 이상 높이는 데 기여했다. 특히 和龍縣 자위단은 ‘현저한 효과’를 내어 일본총영사관으로부터 주목받았다.
    자위단은 ‘한인으로써 한인을 통제’하려는 탄압책으로써, 일본외무성과 일본총영사관, 관동청, 조선총독부의 절충과 타협에 의한 산물이었다.

    영어초록

    The Japanese Empire used a pro-Japanese self-defense corps as a policing subsidiary organ of a village by expanding the pro-Japanese organization under the baton of the police. The self-defense corps in Manchurian region was organized mostly in the three Provinces of the Northeast(Jirin Province, Liaoning Province, and Heolongjiang Province) China which was a base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lso residential areas for most of the Koreans. After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Empire began to arrange a full-scale countermeasure to control Koreans in the Manchurian area.
    Also, the Japanese Empire expanded & extended people’s assembly while having an armed group consisting of pro-Japanese Korean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panese Consulat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a group include Anbohoe(保民會), Yangsaenggye(養生契), Jominbu(鮮民部), and Hangyodonghyanghoe, etc. These groups were mobilized for suppression of anti-Japanese forces including a census, collec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Koreans’ trend, open arms programs for independence fighters,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liaison, etc. However, such organizations were no more than a temporary expedient without legal grounds, so the Japanese Empire judge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control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Manchurian area.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 Japanese Empire established the regulations about the self-defense group in the Manchurian area before/after the Manchurian Incident(1931). On the basis of this, the Japanese Empire organized the Korean self-defense corps, and had the corp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Japanese Consulate Police, and used the corps for appeasement & suppression policies for Koreans.
    With the public order at different areas of Manchuria becoming precariou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Bandit-extermination movement society’(‘殲匪運動會’) was set up on January 1, 1932. Each agency chief and organization chief of Guandong, who participated in the society, filed a request including the self-defense corps installation proposal with the commander of the Guandong Army.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elf-defense corp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elf-defense corps was supposed to be supervised by the self-governing executive commission of prefecture units.
    However,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self-defense corps conducted after May, 1932, installation of the self-governing executive commission was excluded. The Japanese Empire tried to have the self-defense corp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panese Consulate, and to directly control the Korean society resident in Manchuria. The self-defense corps were installed at every village through the cooperation of local influentials, and Korean people’s assembly chairman, etc. One corps was comprised of Machurians and Korean youth numbering 20~40. The right to command and supervise the self-defense corps belonged to the chief of prefecture, but there should be the agreement of the Japanese Consulate for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an executive. The self-defense corps could get loaned firearms according to their service status and military train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orps personnel must get aptitude screening, and military training; nevertheless, in case of not being a Japanese, the relevant person was not able to be issued the firearm license without the proof of ‘Pro-Japan Collaborator.’ In 1932, among the number of the personnel related to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ho were mobilized to suppress the anti-Japan forces, such a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the communist party and mounted bandits, etc., the number of the self-defense corps was 1,336, accounting for about 10.5%. The number of the self-defense corps increased up to 1,959. These people were mobilized to suppress the Korea independence movement for more than 107 times from July, 1932 until 1933. Also, these people contributed to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in raising their arrest rate of anti-Japan Koreans in Jiandao and Hunchun areas by more than 2.7 times. Particularly, the self-defense corps at Hwaryong Prefecture made ‘remarkable effects’, getting attention from the Japanese Consulate. The self-defense corps were the product of negotiations and compromises betwee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Japan, each Japanese Consulate at Jiandao, Guandong Authority,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corps were simply Japan’s suppression policy aiming to ‘Control Koreans using Koreans’ under the cloak of ‘Self-Def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