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며느리-단혈형 부자 패가敗家 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민간신앙의 한 단면 (Koreans’ Folk Religions Concealed in a Oral Literary Tradition of “The story of ruining one's family by Daughter-in-law’s Cutting-Condemnation(斷血)”)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며느리-단혈형 부자 패가敗家 설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민간신앙의 한 단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71호 / 205 ~ 230페이지
    · 저자명 : 서신혜

    초록

    이 글은 ‘며느리-단혈형 부자 패가 설화’를 통해서 한국인의 민간신앙을 살핀 것이다. 며느리-단혈 부자 패가 설화는 부잣집에 손님이 많아 괴로워하던 며느리가 시주승에게 물어서 그의 지시대로 어떤 사물을 끊었더니 손님도 끊기고 그 집도 망했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한 가문이 갑자기 망한 원인을 며느리의 탓으로 돌리는 젠더적 면이 있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며느리의 악행을 부각시키지 않고 그 고생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였으므로 비윤리적인 행위와 그에 따른 징치(懲治)로 집안이 망한 것으로만 보기 어렵다. 이 이야기에는 ‘사물이 끊긴 것-손님이 끊긴 것-집이 망한 것’을 하나로 보는 인식이 드러난다. 인간사와 자연의 연계에 대한 인식은 결국 인간과 신령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서 서로 잘 교류하고 소통할 때 만사가 잘 된다는 민간의 신앙을 드러낸 것이다. 또 어쩔 수 없는 인간사의 흥망을 천의(天意)로 보고 따르는 의미도 읽힌다. 요컨대 이 글을 통해 필자는 ‘며느리-단혈형 부자 패가 설화’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과 자연, 인간과 천의의 관계망을 살폈고, 그것을 민간신앙의 면에서 풀어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oceeds to scrutinizing a oral tradition called the story of ruining one’s family by daughter-in-law’s cutting-condemnation conducive to any estimation of Koreans’ religious mentality. This oral tradition begins with mischievous behaviors of daughter-in-law. She cut away any materials, which a vagabond monk of Buddhism identified as a source of solacing numberless visitors to her house. Tired of serving all the visitors, she cut away the material. It caused her parents-in-law’s house to be collapsed. At a first glance, the daughter-in-law appears to be blamed for the collapse. Interestingly, no one cannot be blamed for the misfortune. A face value of the text does not show that the fate of misfortune comes from any ethical misconduct and its posterior mishandling. Behind this oral tradition, by the way, lies the consciousness that relates misfortune with a ceremony of cutting away any unique material; cutting away any material, cutting away the trend of coming visitors, and cutting away the mood of prosperity becomes identical. The thematic mentality of the text reveals a religious consciousness of seeing human beings’ life to be identical with nature. This oral tradition must hav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