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혜종고의 전후제단에 관한 一考 (A study on Experiences of Dahui Zonggao’s Jeonhujedan(前後際斷))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6.09
26P 미리보기
대혜종고의 전후제단에 관한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7호 / 227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상옥

    초록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 선사의 전후제단(前後際斷) 체험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야기 속에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의 수행 목표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이 도달해야할 깨달음의 과제로 삼았는지, 그리고 체험의 내용과 의미는 무엇이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논자는 앞뒤의 시간이 끊어진다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어원과 경전을 살펴보았다. 전후제단의 경전 근거는 승조 법사와 하택 선사가 인용한 것으로 보아 『유마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마경』에서는 시간의 공성(空性)을 근거로 전후제단으로써 열반하는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
    둘째, 선어록에 나타난 전후제단의 사용례와 연원을 살펴보았는데, 초기의 사용자는 승조 법사였고, 선종에서는 육조의 제자인 영가 선사와 하택 선사가 최초 사용자인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원오심요』에 나타난 사용례를 찾아보니, 스승 원오의 설법 중에 전후제단이 되면 바로 깨달음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야기하는 여러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전후제단이 조동이나 운문에서 뿐만 아니라 임제 문하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끊어짐(斷)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았다. ‘한 타래 엉킨 실 뭉치’ 라는 표현은 『디가 니까야(Digha Nikāya)』에도 나오는 것임을 찾아내었고, 『도서』에서 돈오돈수(頓悟頓修)를 설명하면서 언급되었는데, 견혹의 끊어짐과 수혹의 끊어짐 두 가지 종류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또 열반에서 심상속이 단절되거나 소멸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넷째, 동상불생과 정나라(淨裸裸)한 곳을 얻었다는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동상불생은 『능엄경(楞嚴經)』 이근원통의 과정인 ‘입류망소(入流亡所)’를 의미하는 것임을 밝혔다. 정나라처를 설명하기 위해서 『대반야경』의 세간의 섬과 영가의 중간자고(中間自孤)와 함께 논했는데, 정나라처와 영지로서 중간자고를 비교하면, 전후제단의 상황에서 정나라처는 적멸의 측면, 즉 선정, 지(止)를 말하고, 중간자고는 지혜, 관(觀)의 측면을 말하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후제단 체험의 한계와 의미에 대해 논했다. 결국, 전후제단의 경계에 이르면 정안종사의 지도를 받아 화두 참구를 통해 ‘사중득활’ 해야 한다는 대혜 선사의 체험 이야기는 선의 수증(修證)에서 임제종의 독보적인 우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혜의 전후제단 체험이 제시하는 바는 전후제단은 쌍차의 체험이기 때문에 화두 참구를 통해 쌍조로 한 걸음 더 나가 중도를 증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후제단은 지금 여기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모든 것이 그대로 다 진리의 모습으로 드러나는 일념현전이 되는데, 원오 선사는 이때의 경계를 “삶이여, 온몸으로 살고, 죽음이여, 온몸으로 죽어라.”라고 표현했다.

    영어초록

    For students of Seon buddhism, it is a well-known story that Dahui Zonggao(大慧宗杲, 1089~1163) who is the pioneer of Ganhwa seon(看話禪) had experiences of Jeonhu jedan(前後際斷,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In this story, Dahul is aimed at Jeonhu jedan to practice. I found the reason of this in a tradition of Seon Jong. And I divided his experiences into three. One experience is that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were broken. Other experience is like a situation that a sword cut off tangled threads. Last one is that the mind wasn’t moved but got a Jeongnara(淨裸裸, revealation one's original purity).
    First, I’m going to start from researching examples about sūtras and recorded Seon sayings to understand What is the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And next, I found a meaning of Jeonhu jedan from examples of 『Vimalakirti-nirdesa-sutra』. It is said that “There are no pudgala(人) because the future and the past are broken …”. So it can be a reason for explaining about anātman.
    Second, I assumed that Yongjia Xuanjue(永嘉玄覺, 637~713) is the pioneer who used Jeonhu jedan at first in Seon Jong and searched his master Yuanwu Keqin(圓悟克勤, 1063∼1135)’s quotation Third, I found a meaning of ‘Being broken(斷)’. An expression ‘Tangled threads’ wass from Nikaya and used from Doseo(禪源諸詮集都序, Preface to the Collection of Seon Sources) to explain Donodonsu(頓悟頓修,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I looked at the being broken continuance of the Mental stream(心相續) in nirvāṇa and insisted that Dahui Zonggao’s experience is related to nirvāṇa.
    Finally, I studied the place to get jeongnara. Its crucial meaning is Jungganjago(中間自孤, existence alone between)’ that is made by Yongjia Xuanjue. I found that Dahui Zonggao’s experiences of Jeonhu jedan is used to appear a predominance of Linji Zong in practicing of Seon. Especially I thought that I had had to focus on features of Jeonhu jedan as Ilnyeom hyeonjeon(一念現前,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spirit). Yuanwu Keqin said about it to a gorgeous sentence that “Life, live itself, Death, die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