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경상우도의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 학단(學團)의 동향 (Movements of Seongdam(性潭) Song Hwan-gi(宋煥箕) Study Group(學團) at Gyeongsangu-do(慶尙右道) in the early 19th Centu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0.11
36P 미리보기
19세기 경상우도의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 학단(學團)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문화연구 / 26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본 논문은 19세기 초반을 전후로 한 무렵에서 경상우에 거주했던 성담 송환기 학단의 활동을 통해서 노론계 후예들이 남긴 일련의 행적들을 발굴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노론계의 중진으로 우암 송시열의 5대손이었던 성담 송환기와 그의 문하생인 함인재 정국채 사이의 생전․사후 두 단계에서 영위된 강학 활동과 추모사업의 주요 양상들을 집중적으로 규명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정국채의 문집인 『함인재유고』와 동문인 사농와 하익범의 『유두류록』, 그리고 석연 이우세의 『노강서원추배시일기』 등의 문헌자료들을 두루 원용하는 연구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우도권에 소속된 송환기의 문하생들의 경우, 스승 생전에는 영동의 황간에 위치한 한천서원을 주기적으로 심방하여 강연을 참청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1807년에 이르러 송환기가 타계하자 우도권의 문하생 일원들은 스승을 기리기 위한 일련의 추모․선양사업을 전개하게 된다. 대체로 그 주된 방향은 송환기가 생전에 강연했던 내용들을 『강설연록』이라는 제하의 책자로 정리하는 일과 유고집의 체제와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원본을 대상으로 한 등사 작업의 진행, 그리고 성주의 노강서원[老院]에 스승을 추배하기 위한 노력 등과 같은 몇몇 방향으로 귀결되었다. 결과적으로 경상우도 권역의 성담 학단 구성원들이 보여준 일련의 추모․선양사업의 양상들은 전통시대에서 전국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인물의 생전․사후에 전개된 강학 활동 및 추숭 노력과 관련하여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a view to exploring traces of Noron-leaned members(老論係) through the case of Seongdam Study Group situated at Gyeongsangu-do in the early 19th Century.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main aspects of teaching activities and memorial projects conducted at the two phases of life and death between Seongdam Song Hwan-gi, - descendant of Song Si-yeol(宋時烈) - and his student Haminjae(含忍齋) Jeong Guk-chae(鄭國采). Pupils of Song Hwan-gi were found to have visited Hancheonseowon Academy(寒泉書院) at Yeongdong(永同), Chungcheong-do(忠淸道) and attended the lectures periodically when he was alive. Behind it, was their limitless respect for their teacher and as a result, the members of the study group were provided with big spiritual nourishments over the course of their lifelong studies.After the death of Song Hwan-gi in 1807, pupils at Gyeongsangu-do carried out a series of memorial projects in honor of their teacher. The main aspects of projects included summarizing contents of their teacher's lectures under the title of Gangseolyeonrok(講說聯錄) and transcribing the original posthumous collection to elaborate its system as well as the effort to pay tribute to the teacher at Nogangseowon Academy(老江書院). In connection with the a series of efforts to pay respect conducted after the deaths of figures who had established nationwide personal networks, these findings offered very useful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