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특수교육학술지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연구의 동향 (The Tendency of Research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that it shows up in Korean Special Education Academic Journa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4.09
36P 미리보기
국내 특수교육학술지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연구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5권 / 3호 / 339 ~ 374페이지
    · 저자명 : 박혜성, 박현숙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와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ㆍ고찰함으로써,현재까지의 연구 경향과 특징을 살피고 그 함의를 찾아, 앞으로 더욱 관심을 가지고 진행해가야 할 연구 및 실행 방향 탐색의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선정된 국내 특수교육 전문(등재)학술지에서 최근 2000년부터 2013년까지(13년간) 발표된 총 4,970편의 논문 중 다문화가정,다문화 교육 등 ‘다문화’와 관련된 논문들을 총 46편 선정하여 분포, 연구 대상, 연구 방법,연구의 주제 및 유형(6개의 하위 주제와 5개의 범주 유형)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연구 논문의 발생분포는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높았던2000년대 중반 이후인 2007년부터 발표되기 시작되어 증가하거나 유지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둘 째, 연구 대상자의 연령별 분포는 학령기 이후 성인 대상(28%)과 학령전기 영유아(26%), 학령기 아동(17%) 순이었으며, 성인기와 학령전기 대상은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고,서로 다른 연령대상이 병합된 통합 유형이나 문헌 분석 등의 기타유형(28%) 또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 연구 대상의 유형에서는 ‘유아나 아동 집단 간 비교 유형’과 ‘유아ㆍ아동ㆍ성인 각각의 단일 집단 유형’이 동일하게 가장 우위를 나타내었고(각 26%), 다문화가정장애자녀 대상 연구의 유형은 매우 적은 편(13%)이었다. 셋 째, 연구 방법에서는 ‘비교’와 ‘조사’의 유형이 주를 이루는 양적 연구 방법이 76%로서 편중된 연구 방법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넷째, 분석대상논문들을 통해 총 6개의 하위 주제와 5개의 연구 내용 범주(특성ㆍ조사ㆍ중재ㆍ평가관련ㆍ기타 연구의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그 중 다문화가정 자녀나 이중 언어 사용자의‘발달/능력이나 특성’과 ‘다문화 관련 인식 및 경험, 그리고 요구’가 가장 크게 우위를 차지(각각 50%, 22%)하여 중요시 되고 있는 연구 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정 논문들에서제시된 연구 핵심어(주제어)는 총 78개로서 언어, 인지, 적응 등의 ‘발달 및 특성’ 관련 주제어와 ‘다문화’ 포함 주제어가 역시 높은 출현 빈도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ㆍ고찰한 결과를바탕으로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 등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earch for a basis of research and fulfillmentto be proceed with having further interests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research trends until now and looking for its implications after analyzing andexamining the papers related to ‘multicultural’ published in the journal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46 treatise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matterssuch a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selected out of 4,970 registeredfrom 2000 until 2013 in Korean, in terms of distribution, target group, researchmethod, theme and contents(6 sub-theme & 5 category). The results wereas followed.
    First was that such treatises began to be published from 2007 with anincrease in political interest and support, and since then their number has beenincreased or retained. Second, adults who finished off their school comprisedthe highest percentage (28%) of target groups, followed by preschoolers(26%)and school children(17%). Adults and preschoolers showed similar percentages.
    Such high percentages were observed in combinations of two or more agegroups or in other types in literature(28%). As regards the composition oftarget groups, comparative groups composed of babies and children and singlegroups composed of babies, children or adults accounted for the highestpercentage(26% each). And it was a very small piece of the type on disabled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tudies(13%). Third, most of the studies wereconducted with quantitative method, i.e., ‘comparison’ or ‘survey.’ Actually,such methods were found to comprise 76%. Fourth, it was found that thestudies came under 6 sub- theme and 5 category(chracteristics/survey/intervention/assessment-related/other studies). Among that the highest percentages wereaccounted for by ‘the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r ability of children ofmulticultural families or bilingual people’ and ‘the awareness and experienceof multiple cultures, and the need for them’(50% and 22% respectively). Lastly,the studies embody a total of 78 keywords, also high frequency(81%) ofwhich were accounted for by ‘Linguistic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and ‘Multiple Cultures.’ The directions, tasks and limitations, etc of futureresearch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