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 청련사의 아미타삼존상과 관음보살상 연구 (Studi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Cheongryeonsa Temple in Yangju Created in late Joseon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08
40P 미리보기
양주 청련사의 아미타삼존상과 관음보살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11권 / 297 ~ 336페이지
    · 저자명 : 유근자

    초록

    본 논문은 양주 청련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 가운데 1670년에 조성된 대웅전의 아미타삼존상과, 1651년에 조성된 원통보전의 관세음보살상을 다룬 것이다. 이 두 조각상은 2017년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친 복장 조사를 통해 제작 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웅전의 아미타삼존상은 1670년(강희 9, 庚戌)에 수조각승 녹원(鹿苑)을 비롯한 인종(印宗)ㆍ도운(道云)ㆍ유경(唯敬)ㆍ사운(思運)ㆍ성심(性諶) 등 6명이 참여해 조성한 1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으로, 확실한 조성 연도와 조각승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청련사 아미타삼존상은 1670년에 조성된 이후 1913년과 2000년에 개금불사가 이루어졌으며, 1940년에 복장품 일부는 도난되었다.
    청련사 관세음보살상은 1651년(효종 2, 辛卯)에 전라도 흥양현 팔영산(八影山) 지장암(地藏庵)의 좌협시보살로 조성된 사실이 조성발원문에 기록되어 있다. 조성발원문의 내용을 통해 아미타삼존상 가운데 좌협시보살로 조성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40년에 개금ㆍ중수하였던 원문(願文)이 발견되었다.
    청련사 원통보전의 관세음보살상이 어떠한 이유로 청련사로 이안(移安)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조선 말기에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왕실 관련 사찰에 여러 지역의 불상들이 이동된 경우가 많았던 사실을 비추어 볼 때, 양주 청련사의 관음보살상도 화계사와 흥천사처럼 왕실과의 인연으로 고흥 능가사의 지장암에서 청련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Statues of Amitabha Buddha Triad at Daeungjeon Hall and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Wontongbojeon Hall of Cheongryeonsa Temple were opened and investigated the Eclosed Relics. Cheongryeonsa Temple was originally located in Wangsimni, Seoul, until 2010 when i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Yangju).
    According to the dedicatory inscriptions, the wooden Statues of Amitabha Buddha Triad at Daeungjeon Hall were crafted by master monastic sculptor Rokwon(鹿苑) and five assistant sculptors including Injong(印宗), Dowoon(道云), Yugyeong(唯敬), Sawoon(思運), Seongshim(性諶) in 1670. These statues were re-glided in 1913 and 2000, respectively.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from the continuous famine and outbreaks of epidemic in the latter half of 17thcentury, it was especially severe in 1670(11thyear of King Hyeonjong) and 1671. It is believed that the Statues of Amitabha Buddha Triad of Cheongryeonsa Temple were produced in this background.
    It turned out that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Wontongbojeon Hall of Cheongryeonsa Temple was originally produced and enshrined as the left-hand side attendant statue of the Statues of Amitabha Buddha Triad at the Jijangam Hermitage (Mt. Palyeongsan, Heungyang-hyun) of Neunggasa Temple(Goheung, Jeollanam-do) in 1651. This statue was re-glided in 1940.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culptural style and the record of production time in dedicatory inscriptions, althogh the name of its producer is not clear, this Avalokitesvara statue is likely to be created by sect members of monastic sculptors Eungwon(應元)-Inkyoon(印均) group. Especially, monastic sculptor Samin(三印), who played active roles in producing Buddhist sculptures in that region at that time, is noticed.
    Cheongryeonsa Temple had close association with royal family. Hong Hyunju (洪顯周), the son-in-law of King Jeongjo, and his grandson participated as major supporters in rebuilding of the Main Buddha Hall in 1854. In addition, Ladies of Court (especially Sanggoong) supported Cheongryeonsa Temple in production of Painting of Amitabha Buddha and Painting of the King of Sweet Dew in 1880.
    In late Joseon dynasty, many of Buddhist statues were moved to the Royal Family involved temples from other places around the country.
    There is considerable reason to believe that the movement of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the Jijangam Hermitage of Neunggasa Temple to this temple is because of the involvement of Royal Family in supporting Cheongryeon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