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중국어 다품사어 ‘自+X’의 형태-통사적 특징 (The Morpho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zì(自)+X’(multi-parties of speech) in Modern Chines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4
20P 미리보기
현대 중국어 다품사어 ‘自+X’의 형태-통사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83호 / 41 ~ 60페이지
    · 저자명 : 장호득

    초록

    본고는 『现代汉语词典』(第七版) 표제어의 2음절 ‘自+X’ 구조 가운데 2개 이상의 품사를 갖는 다품사어를전수조사(全數調査)하여 추출한 후 목록화하고 분류하여 그 형태 – 통사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自+X’는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형태 – 통사적 특징을 알 수 있는데, 그 정체성은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로 생성·도출된다.
    둘째, 다품사어인 ‘自+X’ 구조는 그 형태만으로는 다품사 중의 개별 품사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그 구조의통사적 생성·도출 과정을 통해 ‘自+X’ 중 ‘自’의 재귀성과 조응성, ‘自+X’의 명사성, 동사성, 형용사성, 부사성등을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야 그 정체성을 규명하여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통사적 도출 과정에서 형용사가 격 표지의 도움 없이 부사어로 도출된다든지, 부사가 부사어격 표지‘地’와 함께 병합하여 다시 부사어로 도출되는 현상은 ‘自+X’ 구조의 내현적 분산형태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 중국어의 다품사어 ‘自+X’ 구조에서 품사를 구분 짓는 명확한 형태적·구조적 기준은 드러나지 않고있다. 그러나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그것이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 특징을 가지면서 형태론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통사적 층차까지 연결되어 형태 – 통사적 면모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dentify its morphosyntactic features by extracting, cataloging, classifying, and analyzing all of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e ‘zi+X’ structure) listed on “Xiàndài Hànyǔ Cídiǎn”(7th e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zì(自)+X’ structure could be recognized by reanalysis of its internal structure. Its identity is that it is a structure that generates and derives an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compound.
    Second, the ‘zì(自)+X’ structure alone cannot specify each of the individual parts of speech in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us, the structure’s syntactic generation and derivation process requires a comprehensive look at the anaphora and coindexing of ‘zì(自)+X’, the features of noun, verb, adjective and adverb in ‘zì(自)+X’ to identify its identity.
    Third, in the process of syntactic derivation, adjectives are derived as AdvP without adverbial marker, or adverbs are merged with the adverbs with the adverbial marker ‘de(地)’ to be derived as AdvP. This phenomenon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zì(自)+X’ structure.
    In conclusion, the ‘zì(自)+X’ structure of Modern Chinese does not reveal clear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riteria that classify parts of speech. However,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showed that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covert distributed morhpological synthetic compound word and not only stayed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but also connected to the syntactic lay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