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다문화주의의 비판적 재고찰 (Critical reorientation of multiculturalism for the era of posthuman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다문화주의의 비판적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 / 11권 / 4호 / 25 ~ 54페이지
    · 저자명 : 박휴용

    초록

    본고는 급속하게 전개되는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인본주의에 기반 한 다문화주의의 존재론, 인식론, 그리고 가치론의 패러다임의 재고와 그 대안이 될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첫째, 포스트휴먼적 인간의 존재론적 성격에 대한 이해와 그에 걸 맞는 다문화주의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포스트휴머니즘의 주체성, 자기정체성, 인권, 그리고 자유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포스트휴머니즘의 인식론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포스트휴먼적 조건에서의 몸-마음-환경의 삼원적 관계성, 이에 대한 대표적 이론인 능동자-망 이론, 그리고 탈인간중심적 패러다임의 생태정치학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가치론적 차원에서, 진보된 자본주의의 생명정치학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사회 정의를 위한 다문화주의의 역할과 그 대안적 담론으로써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점차 포스트휴먼적 조건으로 변해가는 사회 속에서 다문화주의가 어떻게 인본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태적 윤리와 사회 정의를 위한 새로운 이념적 틀로 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담론의 장을 열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riggered by the reflection that the humanistic paradigms of multiculuralism hitherto is not appropriate to address the ideas and issues of upcoming posthuman world. To tackle this problem, this paper ventures to reorient the humanistic tenets of multiculuralism through a posthumanistic lens, in terms of existential, epistemological, and axiological perspectives. The three major lines of arguments are, accordingly, as follow: First, to understand the existential meaning of posthuman entities, this paper analyzed the kernel concepts of humanism (i.e., subjectivity, self-identity, human rights, and freedom). Based on this analysis of the posthuman conditions, this paper suggested the rightful directions of multiculturalism. Second, by positing the epistemological ground of posthumanism a tripod relationship among body-mind-ecology, this paper introduced the agency-network theory and proposed post-anthropocentric eco-politics as alternative theoretical standpoints for investigating posthumanism. Third, regarding axiological discussion,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the practices of advanced capitalistic eco-politics as a driving force for posthuman technologies, and suggested critical posthumanism as a conceptual foundation to build multiculturalism for promoting social justice. The discussions of this paper can draw the attention of the field of multiculturalism facilitating ecological ethics and social justice in the era of posthu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