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Follow-Up Study on the Effects of Language Facilitation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12
18P 미리보기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촉진교육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언어치료연구 / 24권 / 4호 / 361 ~ 378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황상심, 배소영, 김미배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사업을 이용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언어교육 종결 후 교육효과가 지속되는지, 가정뿐 아니라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의 변화가 있는지, 또한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심층면담 참여자는 전국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을 통해 언어촉진 교육을 받고 종결된 아동의 부모, 조모, 교사, 다문화 언어발달지도사 등 총 28명으로 구성하였다. 심층면담을 실시하기 전에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한 후, 선정된 대상자를 상대로 2014년 10월 3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실시 후 10일 이내에 전사한 면담내용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심층면담 결과 ‘언어발달지원의 필요성’, ‘언어발달지원사업의 효과’, ‘서비스 종결 후 남는 문제들’, ‘후속조치에 대한 요구’ 등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류된 네 개의 주제는 9개의 상위범주와 각 상위범주에 대한 23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에 대한 해당 사례를 중심으로 결과를 기술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언어발달지원 서비스를 받고 정상발달로 종결된 아동의 경우 언어 및 학습 능력이 대체로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일상적인 의사소통 수준에서의 대화 능력에서는 어려움이 없는 아동이어도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 능력이나 읽기 쓰기 능력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이 있었다. 셋째, 언어발달지원 서비스가 종결되어도 언어발달기에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들, 특히 정상발달로 종결되지 않은 아동의 경우 지속적 지원 및 추적관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결론: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 사업의 효과와 지속적인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면담 참여자의 견해를 정리하고, 다양한 지원체계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지속적인 추적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language facilitation in terms of maintenance after active education in various social contexts and possible areas for extended support 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Korea.
    Method: Twenty-eight adults including parents, grandmothers, teachers, and language facilitators participated in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Conversational data were transcribed within 10 days after the interviews and were cod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Four themes were extracted: necessity of language facilitation, positive effects of language facilitation, sustaining problems after the service period, and the need for continuing service. In general, facilitating the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eemed to be effective for their social adaptation and meaningful to trigger the support system. However, language and communication facilitating services need to be sustained and extended to various social contexts considering a child's developmental pattern: full adaptation, transition from basic communication to academic language, sustained language and academic support, and transition to other professional service.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ho received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s and thereby maintained normal development usually maintained language and learning abilities. Second, some children had difficulties with narrative skills or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ough without communication problems. Third, even after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 the importance of sustained support and follow-up 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the critical stages of development is emphasized, especially for children with language problems after the service period.
    Conclusion: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emed to be very effective and follow up service exploiting various support systems and further research on follow up service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어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