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애착의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다수준 검증 (Multilevel Analysis for Examining the Effective Factors on Community Attachment)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7.06
46P 미리보기
지역애착의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다수준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경찰학회보 / 19권 / 3호 / 107 ~ 152페이지
    · 저자명 : 윤우석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수준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애착은 지역사회 주거환경에 대한 정서적 감정을 의미하며 지역사회의 통합과 통제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시 44개동에서 923명의 설문조사자료를 HLM 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역애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과 연령을 제외하고 성별, 집주인 여부, 주거형태, 범죄피해경험, 가구소득, 거주기간, 범죄두려움에서 모두 차이가 존재했다. 여성, 가구주, 아파트 거주자, 범죄피해가 없는 사람의 지역애착이 높았으며 가구소득이 낮고(300만원 기준), 범죄두려움을 많이 느끼고,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지역애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응답자들의 인식을 기준으로 변인들을 측정하였는데 지역수준에서 직장이 좋고 거주기간이 긴 지역일수록 지역애착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유대, 이웃관계, 그리고 공식적 사회통제는 지역애착에 정적인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지역무질서는 지역애착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애착은 개인과 집단수준의 다수준 접근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역애착 변량값의 16%가량이 지역 간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위계선형회귀분석을 개인수준, 지역수준, 그리고 전체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는데 전체모델에서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집주인 여부, 거주기간, 가디언숫자, 그리고 범죄두려움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수준에서는 주거불안정성과 직장의 질에 관한 구조적 특성요인만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상대적으로 기존 논의에서 중요시되던 변인들을 지역수준에서만 고려하였다는 한계점에서 개인수준에서도 동일하게 지역변인들을 포함시킨 결과 상당히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역과 개인수준에서 동일한 변인들을 동시에 고려한 모델에서 유의미한 개인수준의 영향요인으로 연령, 집주인 여부, 거주기간, 가구소득, 범죄두려움, 사회유대, 이웃관계, 공식적 사회통제, 무질서, 직장의 질이었다. 즉, 지역애착은 비록 지역과 개인수준에서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개념이지만 개인수준에서 주요변인들의 영향력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지역애착을 개선시키고 위한 전략 역시 개인의 인식개선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rimary aim for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ive factors on community attachment through using multi-level analysis. Community attachment is defined as an affective feeling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around community and is a primary concept to expect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control.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attempted to use the data collected from 923 questionaries derived from 44 communities in Dae-gu City and adopte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s throughout using HLM 7.0. Statistical results from mean differences of community attachment across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across gender, home ownership, types of houses, victimization, house income, length of residence, and fear of crime. Female, homeowner, non-victim persons show a lower level of attachment whileas persons with monthly house income less than3 million-won, higher fear of crime, short length of living in community are more likely to show lower level of attachment. In addition, correlation, occupation and length of residence in community level are positively related to community attachment. Moreover, except for disorder, social cohesion, neighboring, and formal social control are also positively related to attachment. the variance of community attachment was explained by 16% in the basis model by using HLM which meant that community attachment needed to examine in the multi-level analysis. In the final model, gender, home ownership, length of residence, social ties, and fear of crime in individual level of explaining factors were found significant variables whileas only residential instability and occup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achment among community level variables. Since community effects were too small, the author attempted to adopt an additional analysis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same variables(social cohesion, formal social control, neighboring, diroder and so on) in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everal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age, home ownership, length of residence, home income, fear of crime, social cohesion, neighboring, formal social control, disorder, and occupation were shown significant effects to predict community attachment. As a result, to predict community attachment, individual level of effective factors is more important than community level of predictors. So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a way to promote community attachment by using a strategy to innovate individual level of percep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경찰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