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성교육으로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 서울대학교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를 중심으로 (Reading of Thus spoke Zarathustra as a Moral Character Education - Focussed on Seoul National University’s “Reading Seminar - Ask the classics for direction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인성교육으로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 서울대학교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양기초교육연구 / 1권 / 2호 / 25 ~ 50페이지
    · 저자명 : 김광식

    초록

    이 글은 인성교육으로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교육을 서 울대학교의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왜 그리고 어 떻게 읽는가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아울러 책 선정 과정에서 논란이 되었던 인성교 육 적합성 문제와 학술대회 발표를 할 때 논평자가 제기한 ‘배후의 사드성’ 문제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이 책을 읽게 하는 까닭은 무한경쟁으로 시기심과 절망감이나 증오심에 빠진 젊 은이들에게 자기를 긍정하고 삶을 돌아보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어서다. 읽 는 방법으로는 훈고학적 태도에서 벗어나 고전을 읽으며 내 삶이나 우리 삶의 문 제나 태도를 되짚어보는 방법을 권장한다. 이 책 읽기는 인성교육에 적합하다. 이 책은 시기심 대신 자긍심을 갖도록 가르 치는데 바람직한 사람의 성품을 기르는 게 인성교육이라면 바람직한 사람의 성품인 자긍심을 기르는 교육도 인성교육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자긍심이 넘 쳐 시기심이 없는 사람은 남의 것을 빼앗아 차지하고 싶은 악한 마음이 들기 어렵다. 그러한 사람은 오히려 기꺼이 베풀고 싶어 하는 선한 마음이 들기 쉽다. 한편 무한경쟁의 사회 현실 속에서 시기심을 극복하고 자긍심을 가지라는 가르침 배후에서 사드를 느낄 수도 있지만 사회가 거세된 순수 자아가 아니라 사회 속 자아로 자아 성찰 교육을 제대로 하면 사드를 덜 느끼고, 사회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roduces Seoul National University’s classics education of liberal arts “Reading Seminar - Asking the Way to Classics”, focusing on the reading of Nietzsche’s Thus spoke Zarathustra. I talked about why and how to read it. In addition, I talked about the issue of it’s suitability to moral character education, which was controversial during the book selection process, and the issue of ‘sade behind it’ raised by the commentator at the conference. I let students read this book because I want to give young people who have fallen into jealousy, despair, or hatred by the infinite competition an opportunity to affirm themselves and to reflect on their lives. I let them read it not in a exegetical manner, but in a reflective manner. I encourage them to reflect on the problems and attitudes of their lives while reading. This book teaches us to have pride instead of envy. If cultivating the character of desirable people is moral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 that cultivates the pride, which is the character of desirable people, can also be moral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who is full of self-esteem and does not have jealousy to have a evil heart to take someone else’s possession. Rather, it is easy to have a good heart that is willing to give others his possession. Of course we may be worried that students will find sadism behind the teaching of overcoming envy and have pride in the social reality of infinite competition, and therefore, we may think that it may be necessary to let them reflect on the society that makes them find sadism behind it. Of course they may see sadism behind it. But if we teach them self-reflection education not with a pure self-without-society but with a self-in-society, they will see less sadism and reflect critically 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