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주의 커리큘럼 논쟁의 사회사적 고찰 (A Socio-historical Analysis of the Debates on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7.05
22P 미리보기
다문화주의 커리큘럼 논쟁의 사회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4권 / 2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이종일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사회과 커리큘럼 문제를 되돌아보기 위해 다문화주의의 발달에 따른 커리큘럼 논쟁을 검토한다. 다문화주의 커리큘럼 논쟁은 68혁명 이후 소수자집단의 인정투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흑백·남여·빈부 갈등은 68혁명 이후 정전에 대한 비판을 본격화하였다. 당시의 정전 비판은 정교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서구문명’을 ‘보편문명’으로 생각하는 사고에 대한 비판으로는 커다란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사회운동 차원의 비판은 보수주의자들의 반동을 불러일으켰고, 이 과정에 진보주의자들은 해체주의·후기구조주의·포스트모더니즘·상대주의 등으로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위협을 느낀 보수주의자들은 1970년 무렵 폐지된 「서구문명」 코스의 부활을 꿈꾸었고, 1980년에 이르러 「서구문명」 코스는 대학신입생들의 필수가 되었다. 이런 반동에 맞서 진보주의자들은 ‘다양성’이 갖는 공정성을 ‘사회적 정의’로 주장하면서 ‘다문화주의 커리큘럼’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1988년 스탠포드 대학에서 「CIV」 코스로의 커리큘럼 변경은 전국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다문화주의 커리큘럼 도입의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볼 때 한국의 사회과 시민성 교육도 다문화주의 커리큘럼으로의 변화와 그에 따른 실러버스의 체계화 논의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ocio-historical analysis of curricular contestations in the context of growing multiculturalism, for examin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Recent curricular debates around multiculturalism can be traced back to the struggles for recognition by minority groups since the French social revolution of ’68. The racial, sexual, and socio-economic conflicts in America around 1960’s may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growing criticism of the curricular canon. These social criticisms of the 1960’s, though less than sophisticated, were significant enough as criticisms of western civilization as the universal civilization. They eventually paved the way to conservative reactions, ending up with the revival of the 「Western Civilization」 course, abolished in earlier decade, as a freshmen requirement in 1980’s. The liberals in response―buttressed up by the philosophical thoughts, such as deconstructionism, poststructuralism, postmodernism, relativism and the like―successfully demanded for ‘multicultural curriculum’holding up diversity as an aspect of social justice. Stanford’s 「Cultures, Ideas and Values」 course in 1988, for example, stimulated nationwide debates, eventually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It seems high time that the civil education stran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Korea turned multicultural, with the corresponding reorganization of its syllab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