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있다’의 근본의미 (The Research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Being’ and Heidegger’s Question of ‘Bei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1.10
35P 미리보기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있다’의 근본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26호 / 245 ~ 279페이지
    · 저자명 : 구연상

    초록

    우리는 “존재”라는 번역어가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근본 물음인‘있는 것으로서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뿐 아니라 하이데거의 근본물음인 ‘있음의 의미(뜻하는 바)는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마름질하는 데알맞지 않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에 대한 증거로 크게 세 가지 사례가 제시되었다. 첫째, 만일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신 존재 증명’과 ‘신의 본질 해명’을 서술하기 위해 “존재”라는 번역어를 쓴다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있음의 사실’로부터 ‘가짐의 상태’를 거쳐 결국 ‘있는 실체’로 잘못 넘어가기 쉽다. 둘째, 토마스의 존재론적 차이는 ‘있는 것’이 있음을 ‘나누는 갖는것’이라는 사실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존재”라는 낱말은 그 자체로 이러한 ‘나누어 가짐’을 나타낼 수 없고, “하다”라는 동사의 도움을 빌려야만 분사가 될 수 있다. 셋째, 하이데거의 존재물음은 ‘있는 것의 있음’과 ‘있음의 있는 것’ 사이의 공속적 관계를 올바로 파악하는 게 중요한데, “존재”라는 낱말은 이러한 관계를 담아내는 데 많은 장애 요소가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가 제시한 “sein”의 여러 보기 문장들을 우리말로 바꾸어 봄으로써 “존재”라는 번역어 대신 “있다”라는 우리말이 그 뜻과 쓰임새에서 보다 옳고 바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확신에 기초하여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의 핵심 낱말인 “Sein”에 대한 우리말 번역어로 “있음”을 선택하는 게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있다”라는 낱말의 근본의미를 확정하기 위해 그 낱말의 어원적 의미들(가짐, 머묾, 차지함, 나타남)을 살폈고, 그 가운데 ‘나타남’이 다른 의미들에 비해 ‘가장 앞서고’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과감하게 확정했다. 우리는 이러한 확정의 올바름을 보이기 위해 “나무는 있다.”라는 글월을 분석했고, 그로써 “있다”의 근본 의미는 ‘나타남-이어나가기’임을 밝혀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pointed out the current translated word, ‘존재(Being)’ has a limit to clarify “What does ‘being’ mean as it is?”, which i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estern conventional metaphysics, as well as “What is the meaning of ‘Being’?”, the basic question of Martin Heidegger.
    I explained this by giving three specific examples. Firstly, using the word ‘존재(Being)’ can be dangerous because it has a possibility for us to misinterpret ‘there is something’ as ‘something possesses something’ and as ‘something substantial exists’, when we use the term ‘존재(Being)’ to demonstrate the ‘ontological argument’ and the ‘existence of God’.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of Thomas Aquinas, it is considering ‘there is something’ as ‘sharing a state of being’ that makes the differences. The term ‘존재(Being)’ itself, however, is insufficient to express such a meaning in detail so it has to be changed into a participle form by the verb ‘하다(do)’. Thirdly, when it comes to Heidegger’s question of ‘Being’,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ommon properties between “Being of entity(Sein des Seienden)” and “Entity of Being(Seiendes des Seins)”. The term ‘존재(Being)’, however, has many limitations to be used for showing the relation clearly.
    For these reasons, then, I tried to illustrate that the term ‘존재(Be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urrent term ‘existence’ so as to convey the exact meaning of ‘Sein’, a keyword of Heidegger’s philosophy. To demonstrate this, I switched several sentences presented by Heidegger, in which ‘Sein’ was used, into Korean. Through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being(있다)’ should play a role as a substitute for ‘existence(존재)’, the term which is now being used as the translated word of ‘Sein’.
    Lastly, in order to ensure the basic meaning of ‘존재(Being)’, I explored some words such as having, remaining, occupying and appearing from the aspect of the etymological meanings. After that, I determined ‘appearing’ has the most initiative and ultimate feature of all. To verify the determination, I drew the fundamental meaning of ‘존재(Being)’ is ‘appearing and keeping connected’, from an example sentence, ‘A tree 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