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탁과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 - 대법원 2019. 3. 28. 선고 2018다44879(본소), 2018다44886(반소) 판결을 중심으로 - (Trust and Opposing Power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44879(principal lawsuit), 2018Da44886 (counter lawsuit) Decided March 28, 2019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9
40P 미리보기
신탁과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 - 대법원 2019. 3. 28. 선고 2018다44879(본소), 2018다44886(반소)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51권 / 373 ~ 412페이지
    · 저자명 : 장명

    초록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19. 3. 28. 선고 2018다44879(본소), 2018다44886(반소) 판결을 중심으로 신탁법상 신탁과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부동산을 신탁재산으로 하는 신탁이 설정되고 해당 부동산에 관하여 수탁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면 해당 부동산에 관한 대내외적인 소유권과 관리권은 수탁자에게 귀속한다. 따라서 주택에 관하여 신탁이 설정되면 해당 주택을 임대할 수 있는 적법한 권한 또한 원칙적으로 수탁자가 보유한다. 따라서 위탁자가 수탁자로부터 위임을 받았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탁이 설정된 이후 위탁자와 신탁재산인 주택에 관하여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임차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보호를 받을 수 없다. 다만 임대차계약체결 이후라도 위탁자가 해당 주택을 임대할 수 있는 적법한 권한을 확보하면 임차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대항력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임차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이라는 요건을 갖추어야 하고, 이때 주민등록은 제3자가 볼 때 주민등록에 의해 표상되는 점유가 임차권을 매개로 하고 있는 점유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임차인이 위와 같은 요건을 구비하면 원칙적으로 그 다음날부터 대항력이 발생한다. 다만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를 받고, 소유권이 아닌 임차권에 기한 점유라는 점을 충분히 공시하는 주민등록을 하였음에도 임대인에게 적법한 임대권한이 없어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못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그 후 임대인이 적법한 임대권한을 취득하면 즉시 대항력이 발생한다.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존재하는 주택을 양수한 양수인은 기존 임대차계약상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 임차주택의 양수인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 주택을 임대할 권리나 이를 수반하는 권리를 종국적, 확정적으로 이전받아야 하는데, 담보신탁의 수탁자를 비롯한 신탁법상 수탁자는 신탁재산에 관한 대내외적인 소유권을 취득하는 이상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는 임차주택의 양수인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대상판결은 신탁법상 신탁의 기본법리를 충실히 적용하는 한편,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입법취지를 효과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적절한 결론을 도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When the settlor and the trustee create a trust with respect to the property and complete the ownership transfer registration of the property in the name of the trustee, the ownership is transferred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the trustee, and as a result, the trustee also has the right to manage the trust property. Although there are differing views as to whether such general legal principles of trust can be applied to collateral trust, it is reasonable to accept collateral trust as a type of trust and apply the general legal principle of trust to collateral trust.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covered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 lease contract must be made with a lessor who has the legal right to lease, and in principle, the trustee has the right to lease the trust property after the trust has been created. Therefore, if a lessee makes a lease contract with the settlor after the trust has been created, the lease contract cannot, in principle, be protected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However, the lessee can be protected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f the settlor obtains the legal right to lease, such as by acquiring the ownership of the real estate after the lease contract has been made.
    Next, the lessee needs to be provided with housing and complete resident registration in order to have opposing power under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t is not enough for the resident registration to be merely formal, and it is required that a third party be able to recognize that the occupation relationship represented by the resident registration is based on the right of lease.
    If the lessee satisfies the requirements for the transfer of the housing and the resident registration, opposing power will occur from the following day. However, if the lease contract was not subject to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because the lessor did not have the legal right to lease even though the lessee was provided with the housing and completed the resident registration that sufficiently discloses that the occupation is based on the right of lease rather than on ownership, when the lessor acquires the legal right to lease, opposing power will occur immediately.
    The transferee of leased housing with the lessee who has the opposing power shall be deemed to have succeeded to the status of the lessor. In order to be a transferee of a leased housing, the right to lease the housing or the rights accompanying this right must be finally and definitively transferred. A trustee under the Trust Act (including a trustee of a collateral trust), who acquires internal and external ownership of the trust property is the transferee of the leased housing that succeeds to the status of lessor.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Decision at Issue drew an appropriate conclusion by faithfully applying the basic legal principle of the trust under the Trust Act while also effectively realiz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