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주대표소송에 관한 최근 판례상 쟁점 검토 - 대법원 2018다298744 판결과 2019다291399 판결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Major Issues in Recent Supreme Court Cases Regarding the Representative Suits by Shareholders- Focusing on 2018Da298744 & 2019Da291399 Decision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03
34P 미리보기
주주대표소송에 관한 최근 판례상 쟁점 검토 - 대법원 2018다298744 판결과 2019다291399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판례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판례연구 / 35권 / 1호 / 221 ~ 254페이지
    · 저자명 : 정준우

    초록

    상법상 대표소송은 회사가 이사에 대한 책임추궁을 게을리할 경우에 주주가 회사를 위하여 제기하는 것으로서 회사 운영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최후의 담보가 되는 동시에 이사들의 임무해태를 예방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그리하여 상법은 주주대표소송의 실효성을 확보․유지하고 오남용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주주만이 법정 절차를 거쳐 제기하도록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그렇지만 규정에 일부 명확하지 아니한 내용이 있어 여전히 논란이 있는데,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의 대법원 판례 2건을 중심으로 주주대표소송에 관한 주요쟁점과 그에 연관된 쟁점을 살펴보며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상법상 주주대표소송의 실효성을 제고하려면 ① 비상장회사에서도 회사와의 이해관계가 성숙한 주주에게만 대표소송을 인정해야 하고, ② 제소권자인 주주는 소유란 개념으로 정의하고 그 범위를 한정해야 하며, ③ 제소청구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관련 규정의 소수주주권을 완화해야 하고, ④ 제소청구서를 전자화하고 기재사항을 명시해야 하며, ⑤ 주주의 제소청구가 있으면 회사가 일정한 기간 내에 제소 여부를 주주에게 통지하도록 의무화하고, ⑥ 이사가 자본감소절차를 준수하지 못한 경우에는 법원의 무효판결이 없더라도 주주는 이를 이유로 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해석해야 하며, ⑦ 제343조 제1항 단서의 ‘회사가 보유하는 자기주식’은 배당가능이익으로써 취득한 자기주식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하고, 특정한 목적에 의해 취득한 자기주식을 소각하려면 본문에 따라 자본감소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해석해야 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Commercial Act, a shareholder's representative lawsuit is brought by the shareholder for the benefit of the company when the company neglects to investigate the responsibility of the directors. This serves as the last guarantee to secure the soundness of the company's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neglect of the directors' dutie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the effectiveness of shareholder representative litigation, as well as to prevent the risk of misuse, the Commercial Act strictly regulates that only shareholders who meet certain requirements can file a lawsuit through the courts. However,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due to the inclusion of some unclear content in the regul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wo recent Supreme Court precedents, the main issues related to shareholder representative litigation and related issues were review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as follow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hareholder representative litigation under the Commercial Act 1) Even in unlisted companies, representative litigation should be recognized only by shareholders who have mature interests with the company. 2) The shareholder who is the right to sue should define the concept of ownership and limit the scope. 3)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aint, the minority shareholder requirement in the relevant regulations should be relaxed. 4) The complaint request form must be electronically clarified. 5) If there is a claim from a shareholder, it should be mandatory for the company to notify the shareholder of whether or not to file a complaint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6) If a director fails to comply with the capital reduction procedu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shareholder can file a representative action on the grounds of this, even if there is no judgment invalid by the court. 7) The 'treasury stocks owned by the company' in the proviso to Article 343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Ac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only treasury stocks acquired as dividend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ollow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