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맵다’의 意味 變化에 대한 短見 (A Historical Study on the Meaning of ‘Maepd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12
19P 미리보기
‘맵다’의 意味 變化에 대한 短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25호 / 163 ~ 181페이지
    · 저자명 : 이선영

    초록

    ‘맵다’는 현대국어에서 [고추나 겨자와 같이 맛이 알알하다]란 의미를 나타내는 미각어로 쓰이고 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현대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운 초’나 ‘운 술’과 같은 예가 많이 나타나는데 술이나 초는 혀가 알알할 정도로 매운 음식은 아니다. 당시의 여러 자료를 살펴본 결과, ‘다’는 액체류와 같이 나올 경우 현대국어에서의 의미와 달리 [원래의 정도보다 강하거나 진하다]란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나라에 고추가 보급된 시기가 17세기 이후이고 그것이 음식에 보편적으로 쓰이게 된 것은 19세기 이후라는 사실도 ‘고추가 맵다’의 ‘맵다’ 의미가 중세국어에서 나타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꿀이 달다’의 ‘달다’나 ‘소금이 짜다’의 ‘짜다’를 보면, 꿀은 그 본래 속성이 단 것이고 달지 않은 꿀은 없다. 소금 역시 그 본래 속성이 짠 것이고 짜지 않은 소금은 없다. 반면 ‘매운 초’에서 ‘초’는 그 자체 속성이 매운 것이 아니고 농도가 진한 초를 매운 초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고추가 우리나라가 보급된 이후에 ‘고추’의 속성이 ‘맵다’의 기본의미로 자리를 잡게 되고, ‘맵다’가 고추의 맛을 표현하는 형용사로 정착한 이후에는 농도의 진함을 나타내는 의미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또한 현대국어 부사 ‘매우’의 의미인 [보통 정도보다 훨씬 더]도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다’에서 그 어원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emantic change of ‘maepda’(맵다) in Korean. In Contemporary Korean ‘maepda’ means ‘hot and spicy as chili pepper and mustard’. But chili peppers were introduced to Korea in the 17th century, so ‘maepda’ was probably used as different meanings from contemporary Korean ‘maepda’ before the 17th century. Actually ‘maeun sul’(운 술) and ‘maeun cho’(운 초) appeared often in Middle- Korean and Modern-Korean and they meant ‘strong liquor’ and ‘strong vinegar’. In those examples ‘maepda’ was used as meaning of ‘stronger or thicker in degree’. Since the 17th century, as chili peppers spread all over the country and it was used in cooking, it seemed that ‘maepda’ started to express the meaning of ‘spicy’. That is, ‘maepda’ was changed into taste-terms expressing attributes of food. And since then meaning of ‘stronger or thicker in degree’ was not used any longer. Also Contemporary Korean adverb ‘maeu’(매우) meaning ‘even stronger than normal’ is derived from ‘maepda’ in Middle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