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시아 국가의 다문화정책 사례 고찰 (A Case Study on the Multicultural Policies in Asian Countr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2
18P 미리보기
아시아 국가의 다문화정책 사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 6권 / 1호 / 57 ~ 74페이지
    · 저자명 : 홍영균

    초록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나라들은 결코 단일민족으로 형성된 국가가 아닐 뿐만 아니라 20세기의 서양 선진국가들과 마찬가지로 21세기에 들어오면서 활발하게 다문화국가로 진입하고 있다. 세계 각 국가의 경제상황에 따라 촉발된 저개발국가로부터의 노동인력 유입에 의한 국가간 인적교류는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21세기를 넘어 코로나 팬데믹의 시기인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다문화사회에서는 무엇보다 총체적인 정책 수립으로 다양성에 기초한 사회통합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다문화사회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해야 하며, 또 이를 기초로 한 정책수립을 위해서 한국 상황에 적합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정책을 도출해내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의 효과성을 실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일본, 홍콩 등 아시아 국가들의 다문화정책을 문헌적으로 비교∙고찰하였다. 이들 국가들은 우리사회에 다문화가 유입되기 훨씬 전부터 다문화민족에 의해 국가가 형성된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와 같은 국가와 적극적인 다문화 유입정책을 펼친 홍콩이나 또는 매우 방어적인 다문화정책에서 최근 적극적으로 정책변환을 이루어 낸 일본 등이다. 이들 국가들의 다문화정책 사례들을 통하여 결혼이주여성, 이주노동자, 다문화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착․교육․주택․문화정책 등 각 정책별로 다양한 적용방안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ll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not only nations formed as a single ethnic group, just like the formation of a state itself, and are actively entering multicultural countries like any other Western country.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countries, which started with the transfer of labor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triggered by the economic conditions of each country in the world, bega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continues beyond the 21st century, even today, the period of the corona pandemic.
    In a multicultural society,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eek social integration based on diversity by establishing a holistic policy. Therefore, the general ministry must be able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ulticultural policy above all else.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grasp the present multicultural society and predict the future, and in order to establish policies based on this, the process of forming an ideology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nd deriving appropriate policies again must be repeated.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multicultural policies of Asian countries while considering the current Korean situation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substantial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s multicultural policies. In other words, through the cases of multicultural policies in Asian countries, it was attempted to carefully explore the application plans for each policy, subdividing each policy such as marriage immigrant women policy, foreign migrant worker policy, education, housing, and cultural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