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달라, 다오’의 어휘론 (A lexicological study on dalla, da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12
31P 미리보기
‘달라, 다오’의 어휘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56호 / 191 ~ 221페이지
    · 저자명 : 배주채

    초록

    ‘달라, 다오’는 흔히 ‘주다’와 다른 단어(어휘소)인 ‘달다’의 둘밖에 없는 활용형인 것으로(불완전계열) 보고 있으나 ‘주다’의 활용형으로 보아야 한다. 형태론적으로는 형태소 {주-}의 이형태로 /주-/ 외에 /달-/과 /다-/가 존재한다고(보충법) 기술할 수 있으며, 어휘론적으로는 어휘소 «주-», «봐주-», «알아주-»의 어형으로 각각 /주-/, /봐주-/, /아라주-/ 외에 /달-/, /다-/와 /봐달-/, /봐다-/와 /아라달-/, /아라다-/가 존재한다고 기술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에는 형태론적 조건과 의미론적 조건이 함께 작용한다. 다만 ‘끝내주다’, ‘죽여주다’는 ‘끝내달라, 끝내다오’나 ‘죽여달라, 죽여다오’가 쓰이지 않아 그러한 어형 교체가 없다.
    사전에서는 ‘달다’를 표제화하여 ‘달라, 다오’의 형태로만 쓰이는 어휘소로 풀이하고 ‘주다’와 관련어 관계에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달다’에 대해 ‘주다’와 평행하게 의미소 분할을 하지도 않고 있고 ‘주다’의 활용계열에서 ‘달라, 다오’가 있을 만한 자리가 빈칸임을 언급하지도 않고 있다. 이러한 비일관성은 ‘달다’에 대한 어휘론적 인식이 투철하지 않음을 뜻한다. 어휘소가 아닌 ‘달다’를 사전에서 표제화해서는 안 되며 ‘달라, 다오’는 ‘주다’의 활용정보에서 제시해야 한다. ‘주다’의 용례를 보일 때도 ‘달라, 다오’가 들어 있는 용례를 적절한 비율로 포함해야 한다. 합성동사 가운데 ‘봐주다’처럼 활용형 ‘~달라, ~다오’를 보충형으로 가지는 것들에 대해서도 이들 형태를 활용정보에 포함해야 한다.

    영어초록

    Conjugational forms dalla (달라) and dao (다오) have been considered word-forms of a lexeme dalda (달다) ‘to give me/us’, but they should be treated as word-forms of a lexeme juda (주다) ‘to give’.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a morpheme {ju-} has three allomorphs /ju-/, /dal-/, /da-/, of which /dal-/, /da-/ are suppletive forms. From a lexicological point of view, lexemes «ju-» ‘to give’, «bwaju-» ‘to tolerate’, «al'aju-» ‘to appreciate’ have /dal-/, /da-/; /bwadal-/, /bwada-/; /aladal-/, /alada-/ repectively. These alternations are both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conditioned. On the contrary lexemes «jug’yeoju-» ‘to be cool, great’, «kkeutnaeju-» ‘to be gorgeous’ have regular paradigms.
    Major Korean dictionaries list dalda as a headword, giving a definition of it with example sentences, which means they regard dalda as a lexeme. However they neither divide it into sememes along with juda nor mention the gaps in the paradigm of juda that could be supplied by dalla, dao. This lack of consistency in dealing with dalda and juda comes from lexicological ignorance of dalla, dao. dalda cannot be a headword because it is not a lexeme. The entry of juda should include dalla and dao as its conjugational forms and give enough examples with dalla and dao. Compound verbs such as bwaju- should also be described as having suppletive forms like bwadal-, bwa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