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싫다[厭]’의 어휘사 (Lexical History of ‘silhta(dislikab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싫다[厭]’의 어휘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71호 / 41 ~ 80페이지
    · 저자명 : 정경재

    초록

    본고는 ‘싫다[厭]’가 겪은 형태음운론적인 변화와 품사의 변화를 살펴, 변화의 과정과 시기, 동인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싫다’는 기원적으로 ‘ᄒᆞ다’가 결합한 복합어 ‘슬ᄒᆞ다’로, 15세기에는 ‘슬코, 슬ᄒᆞ니, 슬ᄒᆞ야’와 같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실코, 시르니, 시러’와 같이 ㅀ 정칙 활용의 모습을 보인다. 그간의 연구들에서는 이 변화를 ‘Xᄒᆞ다 > Xㅎ다’의 변화를 겪은 단어들과 동일하게 설명하려 하거나 ‘슳다[悲]’와의 영향 관계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슬희여’에서 ‘슬히여>시리여’를 거쳐 등장한 ‘시려’가 ‘실코, 시르니’에서 분석된 어간 ‘싫-’의 모음 어미 결합형 ‘시러’와 음운론적으로 유사하여, ‘시려’를 ‘시러’의 음성적 변이형처럼 인식한 결과 ‘시러’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슬ᄒᆞ다’는 품사 변화도 겪었다. 15세기에 ‘슬ᄒᆞ다’는 타동사로도, 형용사로도 사용되었으며 ‘슬ᄒᆞ야 ᄒᆞ다’는 타동문에서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싫다’는 형용사로, ‘싫어하다’는 타동사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이는 근대국어 시기 ‘-어 ᄒᆞ-’가 심리 형용사에 결합하여 심리 타동사를 만드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타동문에 쓰이는 ‘슬ᄒᆞ야 ᄒᆞ다’에서 분석되는 ‘슬ᄒᆞ다’를 형용사로 이해하게 된 결과로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morphophonology and part of speech that the vocabulary ‘silhta[厭; dislikable]’ has experienced over time, and to identify the process, periods, and drivers of changes. ‘silhda’ is originally a compound word ‘sulhota’ that is combined with ‘hota’, and its conjugation in the 15th century included ‘sulkho’, ‘sulhoni’, and ‘sulhoya’. Today, however, it shows the forms of ‘lh’ regular conjugation such as ‘silkho’, ‘siluni’, ‘sile’. Preced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explain this change in the same way as vocabularies that have undergone the change from ‘--hota’ to ‘--hta’, or by the influence of ‘sulhta[悲: be sad]’. However, this study considers that ‘silye’, which appeared in the evolution of ‘sulhuyye’ through ‘siliye’, and ‘sile’, a conjugated form of the stem ‘silh-’ which is extracted from the form ‘silkho’ or ‘siluni’, are phonologically similar, therefore, ‘sire’ emerged as a result of recognizing ‘silye’ as a phonetic variant of ‘sire’. ‘sulhota’ also experienced changes in parts of speech. In the 15th century, ‘sulhota’ was used as both a transitive verb and an adjective, while ‘sulhoya hota’ was used only as a transitive verb. Today, however, ‘silhta’ is used as an adjective and ‘silhehata’ is used as a transitive verb. This study interpreted it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sulhota’, which is extracted from the transitive verb ‘sulhoya hota’, as an adjective, and it is associated with the tendency during the early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in which psychological transitive verbs were formed by combining ‘-e ho-’ with psychological adj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