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다문화정책의 방향성 재고(再考)-다문화수용성과 제노포비아(xenophobia) (Review of Direction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Xenophobi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4
38P 미리보기
한국 다문화정책의 방향성 재고(再考)-다문화수용성과 제노포비아(xenophobia)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콘텐츠연구 / 36호 / 45 ~ 82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담론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지 20여 년이 다 되어 감에도 여전히 다문화수용성(multicultural acceptance)이 낮은 이유로 편향된 다문화정책을 그 원인 중 하나로 지적하고자 한다. 한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은 1990년대 노동력의 감소 및 농촌 총각 등의 문제로 외국인근로자 및 결혼이주여성이 국내에 유입됨으로써 시작되었다. 다문화(multiple culture)란 말은 1970년대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서 대두되기 시작한 이념으로 이와 관련한 논의는 각 국가의 역사적・현실적 맥락 등에 따라 상이하다. 서구 국가들의 다문화주의의 유형은 미국・캐나다・호주 등 ‘신대륙’ 이민자 국가들과 유럽 대륙 국가들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캐나다와 호주는 1960년대부터 자신들의 새로운 내셔널 아이덴티티(national identity)를 기초로 다문화주의의 원리를 채용하였으며, 백인과 그 외의 인종 통합을 목표로 하였다. 다문화주의는 한 국가 내의 민족 혹은 인종 간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고 이를 사회적・문화적・정치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각 국가 별로 이를 어떻게 개념화하느냐에 따라 정책의 유형이 달라진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다문화정책이 결혼이주여성과 외국인근로자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과 관련된 것으로 국한됨으로써, ‘다문화’의 범위를 한정시키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국내 소수집단의 인권 및 권리를 신장시키기 위해 도입된 정책이 오히려 ‘다문화’라는 그럴듯한 이름 아래 소수집단―주로 빈곤국 출신의 이주자―을 구별 짓고 차별하는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주민을 포용 혹은 수용하기 위하여 계획된 다문화정책이 실제적 의미의 ‘다문화주의’를 지향한다기보다는, 일부 외국인을 대상으로 편향되게 실시됨으로써 한국인의 다문화수용성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가정한다. 더불어 이러한 편향된 다문화정책이 한국 내 제노포비아 현상을 증가시킨 하나의 원인이 되었음을 밝히고 그에 따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oint to a biased multicultural policy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low multicultural acceptance, even though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 was formed in earnest.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 began in the 1990s when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migrant women entered the country due to problems such as the reduction of the labor force and many single farmers. The term multiple culture is an ideology that began to emerge in Western democracies in the 1970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is vary depending on the historical and realistic context of each country. The types of multiculturalism in Western countries can be divided into “New World” immigrant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of which Canada and Australia have adopted the principle of multiculturalism based on their new national identity since the 1960s.
    Multiculturalism recognizes various cultures among ethnic or ethnic groups in a country and accepts them socially, culturally, and politically, and the type of policy varies depending on how each country conceptualizes them. In the case of Korea, most multicultural policies are limited to those related to marriage women, foreign workers and their families, making mistakes that limit the scope of ‘multiculturalism.’ The policy introduced to promote human rights and rights of minority groups in Korea has resulted in discriminating and discriminating against minority groups - migrants mostly from poor countries - under the plausible name of ‘multicultural’.
    This study assumes that multicultural policies designed to embrace or accept immigrants in Korea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s by being biased toward some foreigners, rather than aiming for ‘multiculturalism’ in a practical sense. In addition, this biased multicultural policy is one of the reasons for the increased genophobia in Korea, and I would like to argue the necessity of preparing countermeas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