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혜서의 신정론에 나타난 하느님의 심판과 자비: 지혜 12,13-22에 대한 변증법적 해석을 중심으로 (God’s Judgment and Mercy in the Theodicy of the Wisdom of Solomon: A Dialectical Interpretation of Wis 12,13-22)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9
32P 미리보기
지혜서의 신정론에 나타난 하느님의 심판과 자비: 지혜 12,13-22에 대한 변증법적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26호 / 2 ~ 33페이지
    · 저자명 : 김민철

    초록

    본고는 솔로몬의 지혜서에서 나타나는 신정론을 중심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고통과 좌절을 겪으면서 얻은 하느님의 정의와 자비에 대한 역사신학적 통찰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한다. 지혜서는 헬레니즘 유다주의의 대표적인 주제를 다루며, 지혜문학과 묵시문학의 사유가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때 우리는 그 조화와 통합의 양상을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하여 ‘변증법적’(dialectic) 관점을 취하였다. 실제로 헬레니즘 유다주의의 영향을 받은 히브리인들이 자신들의 하느님과 그분의 정의가 드러난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그리스 철학에 뿌리를 둔 변증법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이다.
    본고는 세 가지 주요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신학 작품으로서의 지혜서의 특징을 그리스 문화, 역사적 성찰 그리고 묵시문학의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지혜서가 단순히 지혜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수행함을 넘어서, 히브리 민족이 실제로 체험한 고통과 좌절을 통하여 얻은 심오한 역사신학적 통찰을 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지혜서에 드러나는 변증법적 종합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그리스 철학의 관점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 헬레니즘 영향 하의 유다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치열한 사유와 적용의 과정을 거쳤다. 곧, 그들은 히브리적 신앙의 ‘우위성’을 포기하지 않았고, 심판과 자비가 얽혀서 드러나는 역사의 복잡성을 깊이 고려하였으며, 무엇보다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하느님의 선하심에 대한 절대적 신앙을 재확인하였다. 셋째, 역사신학적이며 변증법적 해석을 담고 있는 지혜서의 구체적인 본문(12,13-22)을 분석하였다. 이때 세 개의 대립 쌍, 곧 하느님의 정의의 증명에 대한 필요성과 불필요성, 하느님의 돌보심과 주권, 끝으로 심판과 자비의 ‘조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지혜서의 조화로운 신정론을 가장 응축적으로 표현하는 개념은 ‘에피에이케이아’(evpiei,keia)이며 그것은 ‘정확한 사랑’이라는 말로 바꿔 쓸 수 있음을 보았다.

    영어초록

    This investigation centers on the theodicy of the Wisdom of Solomon (the Book of Wisdom) and seeks to explore in depth the historical-theological insights into God’s justice and mercy that the Israelites acquired through their suffering and frustration. The Wisdom of Solomon addresses some of the most prominent themes of Hellenistic Judaism, and it harmonizes the ideas of wisdom literature and apocalyptic literature. In doing so, we adopt a ‘dialectic’ perspective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harmony and integration. Indeed, the Hebrews under the influence of the Hellenistic Judaism actively embraced a dialectical perspective rooted in the Greek philosophy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God and the history in which God and his justice was revealed.
    This investigation proceeded in three main steps. First, the characterization of the Wisdom of Solomon as a theological work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Greek culture, historical reflection, and the influence of apocalyptic literature. In doing so, we see that the Wisdom of Solomon is not merely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wisdom, but conveys profound historical- theological insights gleaned from the actual suffering and frustrations of the Hebrew people. Rather than uncritically embracing Greek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e Jews under Hellenistic influence engaged in a vigorous process of reflection and appli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ir own identity: they refused to give up the ‘primacy’ of Hebrew faith, considered the complexities of history as judgment and mercy intertwined, and reaffirmed their absolute faith in the goodness of God who is in control of all things. Third, the specific texts of the Book of Wisdom (12,13-22), which contain historical-theological and dialectical interpretations, were analyzed. In doing so, we highlighted three pairs of antitheses: the necessity and unnecessity of the proof of God’s justice, the ‘harmony’ of God’s care and sovereignty, and finally judgment and mercy. We have seen that the concept that most encapsulates the harmonious theodicy of the Wisdom of Solomon is epieikeia (evpiei,keia), which can be translated as ‘precise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