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탄식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응답: 시편 2권과 3권의 배열구조에 대한 연구 (A Divine Response to the Situations of Lament: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Arrangement of Book II and III in the Psalm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3.04
33P 미리보기
탄식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응답: 시편 2권과 3권의 배열구조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66권 / 1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창대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교회의 탄식적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시편에서 탄식 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응답이 무엇인지를 관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오늘날 시편 연구의 새로운 방법인 구성적 방법을 사용하여 시편의 최 종 완성이 의미있는 통일성을 가지고 배열되었다는 전제 속에서 시편 2권과 3권에서 탄식시들과 긍정적인 시들(제왕시, 신뢰시, 찬양시, 등극시 등)의 배 열 구조를 주목했다. 시편 2권과 3권의 시들은 각각 본래의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포로 후기에 정경적 문맥에서 최종 배열되면서, 포로 후기의 탄식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응답을 보여주는 시들로 재해석하게 되었다는 게 본 연구의 전제이다.
    시편 전체의 배열 구조에서 신학적 의도는 시편의 서론으로 기능하는 시 편1편과2편에서찾을수있다. 특별히시편1편은복있는사람은율법을 묵상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 표현은 마음에 하나님의 율법을 새기는 것을 의미한다(시 40:8 참조). 결국 시편 전체는 현재의 탄식적 상황은 마음에 온 전히 하나님의 율법을 새기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마음과 관련된 하나님의 응답이 시편 2권과 3권에서 어떻게 구 체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피기 위해 시편 2권과 3권의 배열 구조를 본격적으 로 관찰했다. 시편 2∼3권에서는 탄식시들과 긍정적인 시들이 의미있는 패턴을 가지고 교차된다. 먼저 시편 2권은 총 5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졌는데, 각 단락의 초두에 마음, 또는 마음을 암시하는 용어가 포진되어 있다(42:4; 51:10; 54:6; 64:6; 69:20). 그래서 2권은 마음이 구조적 틀을 이루고 있고, 2권 에서 하나님의 응답은 재물이라는 풍요의 부재를 탄식하지 말고, 하나님을 의뢰할 것을 촉구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존재임 을 자각할 것을 강조한다(62편 참조).
    마찬가지로 시편 3권도 시편 2권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면서 하나님 앞에 서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존재임을 인식하는 겸손을 부각시킨다. 이런 겸손 한 자만이 하나님이 베푸시는 인애를 절실히 체험하고, 그 인애에 반응해서 자신도 하나님을 사랑하고 마음에 법을 새길 수 있다는 논리다.
    결론적으로 시편 2권 3권의 배열 구조는 탄식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응답 이마음에율법을새겨야한다는것을확인해주고, 더나아가이를위해서 자신이 하나님의 인애가 없으면 살 수 없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임을 자각해 야한다는것을일깨워준다. 본연구는이러한결론이한국교회의탄식적 상황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라고 제안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elucidating the divine answer to today’s situations of lament by attending to the book of Psalms. For this, we have used the compositional method which is concerned with the way that the entire Psalter was arranged to constitute a coherent whole. Our primary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arrangement of psalms in Book II and III where lament psalms and positive psalms (royal psalms, trust psalms, praise psalms, enthronement psalms, and so on) were collected in a meaningful patter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ositive psalms adjacent to the lament psalms in Book II and III should be reinterpreted as divine answers to the grievous situations of the post-exilic period, while containing their historical senses.
    Before dealing with Book II and III, we have argued that psalms 1 and 2, the introduction to the book of Psalms, show the theological intention of the entire Psalter that the believers should have the law in their mind. This finding has gained more support from our following observations of the final shape of Book II and III.
    First, Book II comprises five units, each containing the word ‘heart,’ or words similar to heart (42:4; 51:10; 54:6; 64:6; 69:20) in its beginning psalm. This indicates that the psalms of Book II are framed around the key-word, ‘heart.’ The divine answer to grievous situations as suggested in Book II is that we should trust in God instead of complaining of the absence of wealth; and then it emphasizes that we are required to realize ourselves as being congenitally nothing in order to trust in God.
    Similarly, the arrangement of the psalms in Book III displays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Book II, thus putting into relief a sense of humility that we are nothing before God. Only a humble person is able to realize the Hesed of God in such a way that he can put into practice his love toward God and inscribe the law into his mind.
    In a nutshell, from the structure of the arrangement of Book II and III, it may be well said that the divine answer to the grievous situations of today is that we should have the law within our mind, and that for this, we should have a genuine realization of our being as no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