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의 이동성과 이스라엘의 다문화 사회 (God's mobility and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Isra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하나님의 이동성과 이스라엘의 다문화 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71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정중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의 배경이 되는 이스라엘 사회가 다문화 사회임을 밝히면서, 이러한 이스라엘을 선택하시고 대화하신 하나님의 특별한 인도 방식에 대해 연구하려는 것이다. 특히 다문화 사회를 통합하고 선도하는 신학의 핵심에 이주민과 함께 이동하시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이동성이 자리 잡고 있음을 주목하면서 회막과 성전건축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이동성을 분석하였다.
    성전의 기원이 되는 회막은 이주하는 백성들과 함께 이동하는 성소였으며 회막 전승에는 내부 회막 전승과 외부 회막 전승이 있었다. 예루살렘 성전 건축에도 이동의 상징인 날개 달린 그룹을 크게 만들고, 온 성전 벽과 문에, 그리고 성전 뜰에 물두멍을 받치는 수레에 이르기 까지 그룹 문양을 새겨 놓았다. 그리고 성전을 건축한 후에도 솔로몬 왕이 기도를 드릴 때 지성소를 향하지 않고 번제단을 향하여 기도를 드렸다. 그는 건물 안 지성소의 하나님이 아니라 하늘에 계시고 어디든지 자유롭게 이동하시는 하나님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아하스 왕과 히스기야 왕 시대를 살펴보면 이미 번제단이 아니라 지성소 중심의 신학이 자리 잡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으며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는 성전 중앙 집중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었다. 그리고 포로시기에 다시 나타난 희망의 메시지는 이동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바퀴 달려 자유롭게 이동하는 하나님의 궤의 모습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God’s special way of guiding the people of Israel, whom God chose to communicate with. It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Israel was a multicultural society. In particular, the God of free mobility is at the core of a theology that integrates and leads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Israel. In this article, I analyze this God of mobility with reference to tabernacle and the temple construction.
    The Tent of Meeting, which is the origin of Solomon’s Temple, was a moving sanctuary for immigrants. There were two traditions of the Tent of Meeting in the Bible; the inner tent tradition and the outer tent tradition. When building the temple in Jerusalem, Solomon installed winged cherubim, which symbolized this movement. In addition, he put carved patterns of cherubim on the temple walls, doors, and even on the ten bases of the temple court. After King Solomon built the temple, he made a prayer toward the altar rather than the Holy of Holies. He emphasized not the God of the Holy of Holies in the temple but the God who moved freely.
    Yet in the time of King Ahaz and King Hezekiah, we find that the Holy of Holies has become the center of theology rather than the altar. And this phenomenon of centralization around the temple in Jerusalem continued to accelerate after them. And a message of hope appeared in the period of the captivity when the ark of God was seen moving freely on whe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