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날님전이라> 연구 (A Study on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03
30P 미리보기
&lt;하날님전이라&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2호 / 87 ~ 116페이지
    · 저자명 : 조상우

    초록

    <ᄒᆞ날님전이라>는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율곡도서관 한적실 소장본(나손문고)으로 한글 필사본이다. 서지사항을 보면 線裝으로 34張이며 계선이 없다. 각 면은 9行으로 字數는 不定하다. 책의 크기는 19.8 x 19.3 cm이다. 刊寫地, 刊寫者, 刊寫年이 未詳이다. 소설의 제목을 보면 표제에 흰 종이를 붙여서 “ᄒᆞ날님전이라”고 써 있는데, 나손 김동욱 선생이 직접 쓰신 듯하다. 원래 책에는 표제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ᄒᆞ날님전>은 한 사람이 다 쓴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글씨체가 여러 번 바뀌기 때문에 그렇다. 처음에는 일반 고소설의 흘림체였다가 고딕체로 바뀌고 다시 한글흘림체로 바뀐다. 이는 여러 사람이 나누어서 썼을 가능성과 한 사람이 다양한 글씨체를 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ᄒᆞ날님전>은 1권 1책인데, 그 안의 내을 보면 3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ᄒᆞ날님전>, <소학>, <부모은중경>이 실려 있다. <ᄒᆞ날님전>의 내용을 보면 선과 악을 중심으로 한 일반론과 실제 이야기, 즉 왕손, 이창연, 주회, 양춘, 왕원, 왕봉의 이야기를 나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ᄒᆞ날님전>은 앞의 서지에서도 밝혔듯이 선덕을 쌓은 사람이 자신의 명을 다한 후에 지부에 가서 염라대왕을 만나 목숨을 연장 받고 회생한다는 이야기이다. 주로 <감응편>을 외우라 강조하고 있는데, 이로 볼 때 <ᄒᆞ날님전>은 저승과 연명의 유형을 가지고 있는 고소설로 <저승전>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ᄒᆞ날님전>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지침서이자 개인적 삶을 경계하는 목적으로 쓰여진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hanallimjeonyila> is a manuscript written in Korean housed in Dankook University Cheonan Campus Yulgok Memorial Library Hanjeoksil (Nason Library). The book is formatted in the Seonjang style and is composed of 34 chapters without page border lines. Each page has 9 lines and the number of words in each page is unequable. The size of the book is 19.8 X 19.3 cm. The place, the publisher, and the year of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are unidentified. The title of the book, "hanallimjeonyila", is written on the white paper attached to the title page.
    <hanallimjeon> is composed of one volume, which is divided into 3 parts. <hanallimjeon>, <小學>, and <父母恩重經> are included in the book. <hanallimjeon> deals with the general issues of good and evil and also orderly shows the real life story of ‘Wang son, Lee chang-yeon, Ju hyoi, WYang chun, Wang won, and Wang bong’.
    <hanallimjeon> is a story about a person who met the king of the underworld and took a new lease of life from the king. The book puts an emphasis on the memorization of <Ganying pian(感應篇)>. Considering the story of the book, <hanallimjeon> is an old-style novel (Korean classical novel) which features the connection between this life and eternity with the style of <jeoseoungjeon> and is a novel written for the purpose of guiding person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