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과정을 통해 본 에스닉 네트워크와 노동경험: 일본 요코하마 고토부키쵸의 한국인 미등록노동자를 중심으로 (Ethnic Network and Labor Experience on Migration to Japan: Focusing Korean Undocumented Workers in Kotobuki Yokoham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4.10
40P 미리보기
이주과정을 통해 본 에스닉 네트워크와 노동경험: 일본 요코하마 고토부키쵸의 한국인 미등록노동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47호 / 213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혜진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이주라는 계기를 통해 에스닉 네트워크가 어떤 방식으로 발현하며, 이주 동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노동이 일본 고토부키쵸라는 지역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1980년대 후반,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새롭게 정비된 일용직 노동자들의 인력시장이자 간이숙박소 역할을 했던 요코하마 고토부키쵸에 갑작스럽게 한국인들이 증가하기 시작하게 된 계기를 살펴보면서, 초기의 유입자들은 주로 한국의 제주인들로 이들은 지역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고토부키쵸로 유입하여 노동하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더욱이 제주도는 역사적·지리적으로 한반도의 변방으로 인식되어져 왔었고, 한국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차별의 역사를 경험하는 등 한국의 다른 지역들에 비해 응집력을 가지는 고유한 지역성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고토부키쵸라는 이국의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특히 취업 부문에서 제주인 중심의 헤게모니를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주변(margin)으로 간주되어 왔던 제주인들의 일본으로의 이주를 촉진시킨 역사적 상황과 사회적 환경을 밝혀내는 동시에,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걸쳐, 고토부키쵸의 한국인들의 취업실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본다. 대부분이 미등록노동자라는 불안정한 체류자격으로 고토부키쵸라는 장소와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지 고찰하기 위해서 에스닉 커뮤니티와 구성원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토부키쵸의 고유한 ‘계속적인 이주와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구조적 제약 속에서 에스닉 커뮤니티가 담지하고 있는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bout the employment structure of Korean undocumented workers from the late 1980 to 2000s in Kotobuki Yokohama, Japan where is for day laborer market. Most early settlers were from Jeju island, Korea and they took advantage of the regionalism and kinship to find work in Kotobuki. Jeju island has been recognized as a marginal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tained its indigenous regional character compared to others due to its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Korea. It resulted in that people from Juju become majority power in Kotobuki, so that they have quite different social position. Furthermore it led Jeju people to seize hegemony.
    This study explains migration process, historical situation and social atmosphere which allowed Juju people who had regarded as the margins of society to come to Japan. Also it analyzes the structure of Korean employment in Kotobuki from late 1980s to 2000s. To consider how they make and keep the relation with the place as an unstable status, this article focuses on Korean, especially Jeju community and individ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undocumented workers. On the base of this analysis, it brings out the social implication of ethnic community in structural constraints as presenting Kotobuki's unique character of social network which allows continuous migration and li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