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스닉 미디어는 동포의 재난을 어떻게 보도하는가-관동대지진 이후 한인학살에 대한 『신한민보』의 보도를 중심으로 (How Does Ethnic Media Report on Compatriots’ Disasters?-Focusing on The New Korea’s Coverageof the Korean Massacre after the Kanto Earthquak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4
45P 미리보기
에스닉 미디어는 동포의 재난을 어떻게 보도하는가-관동대지진 이후 한인학살에 대한 『신한민보』의 보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6호 / 57 ~ 101페이지
    · 저자명 : 정한나

    초록

    이 글은 관동대지진 이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신한민보』의 보도를 미국, 조선, 일본의 관계망 안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동대지진 발발 이후 한국인에 대한 미국 언론의 보도는 시기에 따라 세 가지 양상으로 정리된다. 먼저 지진 발발 직후인 9월 초의 보도는 한국인을 일탈적이고 폭력적인 존재로 그린다. 다음으로 한인학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발표가 있었던 10월 말 이후의 보도에서는 무고한 한국인의 표상이 지배적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친우회의 학살사건 진상조사 요청이 있었던 11월 말~12월 초의 보도에서 한국인들은 극도로 무력한 존재로 나타난다. 요컨대 다수의 신문은 지역, 정치색과 무관하게 유사한 한국인 표상을 양산했다. 이러한 경향성은 각 신문사가 뉴스 통신사의 뉴스를 받아쓴 결과 형성되었다. 뉴스 통신사는 중립성과 객관성을 중시하지만, 일본 정부의 강도 높은 언론통제로 인해 이 가치는 충분히 구현되지 못했다. 『신한민보』의 진재 관련 보도 역시 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9월 한 달간 『신한민보』는 인근의 일간지 기사를 참조하여 진재 보도를 수행했다. 그 결과 한인 관련 보도는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신한민보』는 ‘부기’와 제목을 통해 일본 정부에 대한 반감과 “동포”를 향한 동정을 표현했다. ‘부기’와 제목은 현지의 언론에 기대면서도 이를 적절히 전유하는 수단으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10월부터 『신한민보』는 『동아일보』 기사를 전재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의 보도는 재경 한인에 대한 심층적 보도를 가능케 했지만 시의성이 떨어지는 기사를 게재하고, 제국의 검열에 도전적으로 응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동반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가 한인 학살사건을 인정한 후인 11월경부터 『신한민보』의 보도는 다시 한번 변화를 보인다. 길이와 장르, 모든 면에서 텍스트의 성격이 다변화한 것이다. 『신한민보』는 단신, 사설, 번역물, 편지글, 기고 등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를 통해 한인학살 사건을 초점화했다.
    이 글은 『신한민보』의 한인학살 보도가 생산, 이동, 변용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에스닉 미디어로서의 『신한민보』가 보여준 특징과 한계를 논구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verage of the The New Korea(Shinha-Minbo), a Korean newspaper, on the massacre of Koreans following the Kanto Earthquake in the networks of the United States, Korea, and Japan.
    The U.S. media coverage of Koreans after the Kanto Earthquak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tterns depending on the timing. Firstly, the reports in early September,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depict Koreans as deviant and violent beings. Subsequently, in the coverage after Japan’s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Korean massacre at the end of October, innocent Koreans become the predominant representation. Lastly, in the reports from late November to early December, following the request for an investigation into the massacre by the Korea Friendship Association, Koreans are portrayed as extremely powerless. In summary, regardless of regional and political affiliations, most newspapers generated a similar image of Koreans. This trend was formed as a result of various newspapers reproducing news from news agencies. Despite the news agencies prioritizing neutrality and objectivity, these values were not fully implemented due to the strong media control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 New Korea’s coverage of the disaster also underwent changes depending on the timing. Throughout September, The New Korea conducted disaster coverage by referencing articles from local newspapers for a month. As a result, coverage related to Koreans was carried out at a very limited level. However, The New Korea expressed resentment towards the Japanese government and sympathy for “compatriots” through the use of “Bugi(付記, opinion pieces)” and headlines. “Bugi” and headlines were consistently utilized as a means to express these sentiments while relying on the local press. Starting from October, The New Korea adopted a method of reproducing articles from Donga Ilbo. Although this approach enabled in-depth coverage of the economic situation of Koreans, it came with the drawback of publishing less timely articles and being unable to confront the empire’s censorship challengingly.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acknowledged the massacre of Koreans, around November, The New Korea’s coverage once again underwent a transformation. The nature of the text diversified in terms of length, genre, and every aspect. The New Korea focused on the Korean massacre through various forms of text, including brief news, editorials, translations, letters, and contributions.
    This paper seek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racking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adaptation of The New Korea’s coverage of the Korean massacre. It aims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New Korea as an ethnic media by doing s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