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華城城役儀軌』와 『뎡니의궤』의 서지적 분석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between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and Dungny Manua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華城城役儀軌』와 『뎡니의궤』의 서지적 분석과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27호 / 159 ~ 192페이지
    · 저자명 : 옥영정

    초록

    이 연구는 한문본 『화성성역의궤』의 간행이 이루어지까지 과정과 현전하는 자료를 통해 그 가치를 되짚어 보고, 한문본과 함께 최근에 알려진 한글자료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여 살펴본 것이다. 『화성성역의궤』는 1796년 11월 9일에 1차 편찬이 이루어졌지만 초고의 완성 이후 인쇄가 이루어지기까지 여러 차례의 교정과 편찬 체재의 변동이 있었다. 1800년 윤4월에 최종 편찬을 마치고 인쇄작업에 착수하게 되고 같은 해 5월 28일에는 구체적인 간행부수까지 정하였지만 약 한달 후 정조의 갑작스러운 昇遐로 인쇄가 중단 되었고, 이후 1801년 9월이 되어서야 금속활자인 정리자를 이용하여 10권 9책으로 간행되었다. 현존본은 국내 주요 소장처에 약 32종, 국외에 7종 정도를 확인하였다.
    ‘화성성역’을 포함하고 있는 한글본 『뎡니의궤』 13권 13책은 1797년 10월경에 작성된 것으로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하여 제작한 것이 확인된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권39를 비롯하여, 권40, 46, 47, 48까지 5책의 내용이 1794년(정조18) 1월부터 1796년(정조20) 9월까지 진행되었던 화성 성역에 관련된 것이다. 이 한글자료의 큰 특징은 대부분 기록이 날짜순으로 수록된 체계라는 것이다. 이는 곧 화성성역의 진행과정을 순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본 『뎡니의궤』 의 권39가 『화성성역의궤』와 마찬가지로 도판이 있는 卷首에 해당하고 권 40부터 본문이 시작됨을 알 수 있다. 권48이 마지막 권이므로 전체 10권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한글본 『뎡니의궤』의 “화성성역”은 한문본으로만 알려진 『화성성역의궤』의 내용과 많은 부분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한문본 형태로만 남아있는 『화성성역의궤』에 대한 한글본 발굴이라는 의미도 있다. 또한 기존의 『화성성역의궤』에 대한 한글언해와 함께 수록되지 않은 새로운 화성성역의 기록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기존 문헌과의 비교결과 확연히 드러나는 37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한글본과 한문본에 이미 수록되어 동일한 내용을 다룬 것 중에도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등 알려지지 않은 소중한 기록들이 산재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assess the value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hich is written in Chines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ts publication and the existing materials, and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its Chinese character edition and recently discovered materials written in Korean. The first compilation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as accomplished on November 9, 1796, but there had been a series of proofreading drafts and a change in the method of compila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completion of the first draft and printing. The printing started after the last compilation in the leap month of April, 1800, and the specific number of copies was determined on May 28 in the same year, but after about a month the printing was suspended due to the sudden death of King Jeongjo. It was eventu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10 volumes and 9 books by using Jeongrija, which is a movable metal type, in September, 1801. It is confirmed that about thirty two varieties of existing editions are being kept by main domestic holding institutions and around seven other types of existing editions are being kept in foreign countries.
    The Korean-character edition of Dungny Manual consists of 13 volumes and 13 books, and includes “Hwasung Castle Construction.” It is confirmed that it was made by King Jeongjo for his mother, Hegyonggung Hong, in around October, 1797. The contents of five books—vol. 40, vol. 46, vol. 47, vol. 48, and the recently discovered vol. 39—are related to the Hwasung Castle construction done in the period between January 1794 and September 1796.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Korean character materials is that most of the contents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This means it is possible to know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Hwasung Castle in order.
    It can be understood that Volume 39 of Dungny Manual is the initial volume with a plate, and the text, which corresponds to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begins from Volume 40. It may have been comprised of ten volumes, because Volume 48 is the final volume. “Hwasung Castle Construction” in Dungny Manual coincides with many parts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hich is found only in the Chinese language. This means that a Korean-character edition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hich had previously been found only in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iscovered. This also allows the confirmation of new records of the Hwasung Castle construction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Korean annotation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literatures, thirty six distinctive materials have been identified and presented.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many unknown valuable records that include explanations for readers dealing with the same contents included both in the Korean edition and in the Chinese e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