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클라스 루만의 민주주의론 (Niklas Luhmann's Concept of Democra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7.06
26P 미리보기
니클라스 루만의 민주주의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7권 / 2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서영조

    초록

    오늘날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거의 예외 없이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들이 말하는 위기의 본질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있다. 루만의 견해는 이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그에 의하면 민주주의는 현재 잘 기능하고 있다. 오히려 위기는 현재가 아닌 미래의 문제라는 것이다.
    루만은 그의 사회분석의 이론적 전제의 하나인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상관관계라는 관점에서 통상적인 민주주의 개념을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즉 사회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비판의 핵심은 참여와 인민의 지배라는 관념이다.
    인민의 지배와 관련하여, 루만은 특히 인민의 지배의 ‘제도화’에 의문을 제기한다. 제도화되는 순간 인민은 하차하고 엘리트만 남는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는 인민의 ‘존재’ 자체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취한다. 그리하여 그는 인민을 정치체계의 배제된 제3자이지만, 투표자로서 정치체계에 재진입하는 공중이라는 개념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다.
    참여와 관련하여, 루만은 참여에의 요구를 ‘유토피아’라고, ‘좌절을 원칙으로 삼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참여의 요구는 인민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권력자의 권력을 강화하는 역설적 상황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민주주의는 새로운 사회현실 곧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형태에 맞추어 새롭게 정의되지 않으면 안 된다. 루만은 민주주의를 지배의 한 형태가 아니라 정치의 보편적인 틀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정부여당과 야당의 평화로운 권력교체로서 정의한다. 덧붙여 강조되는 것은 민주주의라는 정치형태가 이상과 이념의 실현이 아니라 역사적-우연적 산물이라는 사실이다.
    민주주의의 미래와 관련하여 루만의 전망은 어둡다. 주요정당들의 정책들이 수렴되면서 민주주의의 근간인 정부여당과 야당의 코드화가 점점 무력화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는 정치의 인물화 및 도덕화 현상이다. 이는 정치체계의 환경에의 개방성을 훼손함으로써 다양한 정치적 옵션들이 정치체계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저지하게 된다.

    영어초록

    Those who talk about democracy today speak almost exclusively of the crisis of democracy. The nature of these crises is at odds with ideal and reality. Luhmann's view conflicts in front of this. According to him, democracy is now functioning well. Rather, the crisis is not a present but a future problem.
    Luhmann considers the conventional concept of democracy to be anachronistic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semantics, one of the theoretical premises of his social analysis, that is, it does not conform to social reality. The core of criticism is the notion of participation and rule of the people.
    Regarding the rule of the people, Luhmann question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ule of the people. At the moment of institutionalization, the people get off and only the elite remains. Furthermore, he take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existence’ of the people. Thus, he suggests replacing the people with the notion of public who re-entries into the political system as voters, even though it is an excluded third party of the political system.
    Regarding participation, Luhmann criticizes the demand for participation as ‘Utopia’ and ‘to take frustration as a principle’. The demand for participation does not strengthen the power of the people, but rather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strengthens the powers of the power.
    Therefore, democracy must be newly defined in accordance with new social reality,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ocial form. Luhmann defines democracy not as a form of domination, but as a universal framework of politics, more specifically as a peaceful change of power in government ruling parties and opposition parties. In addition, it is emphasized that the political form of democracy is not a realization of ideals and ideas but a historical-accidental product.
    With regard to the future of democracy, Luhmann's view is dark. With the convergence of the policies of the main parties, the code of government ruling party and opposition party, which is the basis of democracy, is gradually becoming ineffective. The result is the phenomenon of personalization and moralization of politics. This undermines the openness of the political system to the environment, thereby restricting the flow of various political options into the politic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