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와 공간 -「달」, 「늪」, 「진달래」를 중심으로- (The Mythical Image and Space in Donglee Kim's Novels: Focusing on The Moon, Swamp, and An Azal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2.03
29P 미리보기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와 공간 -「달」, 「늪」, 「진달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권 / 1호 / 69 ~ 97페이지
    · 저자명 : 오은엽

    초록

    김동리의 소설 「달」, 「늪」, 「진달래」는 달의 월상(月相)과 관계된 우주적 리듬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 이미지를 아름답게 보여준다. 이로써 김동리는 천상의 달과 지상의 인간이 혼융되고 있는 신화적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달」에서는 주인공이 달의 현현에 따라 순환적 생성의 상상력을 추구하는 달 동물(lunar animal)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른 인물들은 신화적 사고를 잘 보여주는 동형성의 원리에 따라 주인공의 분신으로 묘사된다. 「달」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달이의 죽음이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달-물-뱀-죽음-주기적 재생의 순환 구도 속에서 존재론적 전환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늪」에서는 죽은 물의 이미지가 식물적 이미지로 변용된다. 이것은 다시 마음 속 불 이미지로 바뀌어 모태로 회귀하는 죽음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진달래」의 경우는 꽃을 먹고 꽃에 빠져 죽는 인물의 이야기가 신화적 이미지를 통해 「늪」과 동형성을 이루고 있다. 꽃을 먹는 행위는 죽은 어머니와 일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주인공 성혜의 죽음은 식물화된 불 이미지를 자신의 내부로 침잠시킴으로써 신화적 세계로 침잠하는 것을 뜻한다.
    또한 김동리의 이 세 작품은 다양한 신화적 모티프를 공유하면서 유사한 신화적 공간을 만들어간다. 신화적 인물인 아이는 양성적인 특성을 가지며 어머니에 집착하거나 근친상간적 관계에서 비롯된 죽음에 이른다. 이러한 죽음은 성스러운 공간으로의 이동으로 나타난다. 세 작품에서 인물의 공간 이동은 신화적 이미지로 묘사된 경계 공간으로의 하강 구도를 갖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세 작품 모두 내면으로의 하강 구도는 요나적 공간으로의 침잠이다. 김동리는 다양한 신화적 이미지의 사용과 중복·전복의 기법으로 하강을 완곡화하는 물질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Donglee Kim’s The Moon, Swamp, and An Azalea beautifully show the image of the nat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osmic rhythm in relation to the phase of the moon. Donglee Kim is creating a mythical story in which the celestial moon and the terrestrial humans mix together. In The Moon appears the main character as a lunar animal that pursues the imagination of cyclical creation in accord with manifestation of the moon. The other characters are described as alter egos of the protagonist á la the principle of isomorphic mapping which bespeaks mythisches Denken. What is learned through the mythical image in The Moon is that the death of Dal-i is not mere disappearance, but it fulfilled an ontological conversion in the circular structure of periodical regeneration with moon-water-snake-death. In Swamp, the image of dead water is transformed into a vegetal image. This again turns into the image of fire in mind, which forms the image of death that returns to the matrix. In the case of An Azalea, the story of a person who ate flowers and drowned in the flowers comes in an isomorphic mapping with Swamp via the mythical image. The act of eating flowers means concurrence with the departed mother, and the death of the heroine Seonghye signifies withdrawal into the mythical world by withdrawing the vegetablized image of fire into the inside of herself.
    These three works of Kim’s share a variety of mythical motifs and produce a similar mythical space. The child of a mythical character is characterized by bisexuality, whereby s/he runs into death in an obsession with mother or in an incestuous relationship. This death appears as movement to a sacred space. The spatial movements of the characters in the three works are alike in that they are of a structure descending toward the boundary space that is portrayed as a mythical image. The descending composition into the inner side is withdrawal into the space of Jonah in all the three works. Donglee Kim shows materialistic imagination that mitigates the descent, based on diverse mythical images and the technique of duplication and overtu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