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순원 단편소설 「늪」 연구 (A Study on Hwang, Sunwon’s short story 「Neu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황순원 단편소설 「늪」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66호 / 192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윤주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황순원 초기 단편소설 「늪」에 등장하는 ‘소녀’가 집단-내-이방인으로 어떻게 타자화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1930년대 식민지를 배경으로 삼은 이 작품은 시대의 우울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벗어나고자 하는 소녀의 이야기로전개된다. 역사적 현실에 대항하는 소녀는 국가와 가족 내에서 이중적으로 억압받는 존재로 당시 근대 신여성의 모습을 대표한 바 있다. 또한 그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기 주체성을 찾고, 자신의 성원권을 인정받고자 시도를 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소녀는 그러한 인정투쟁에도 불구하고, 토박이 공동체 내 절대적 주체인 태섭에게 결정적으로 자기 자리를 위협 당한다. 태섭에게 소녀는 매혹의 대상이었지만, 그의 육체적/정신적 한계가 그녀를 공포의 대상으로 치환하면서 집단-내-이방인으로 전락시킨 것이다. 왜냐하면 소녀, 타자의 위협으로부터 공동체내에서 자기의 절대적 위치를 보존하여 남성적 권위와 권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소녀는 부재한 부성의 자리를 대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태섭에게 자신의 성원권을 위임한다. 그러나 그는 그녀에 대한 그 어떤 책임도 지려하지않는다. 단지 태섭 자신의 성원권에 대한 책임과 권리, 즉 국가/가족/남성의 권력을 상징하는 권위만 갖고자 할 뿐이다. 그 권위는 그녀가 자유를 찾아 공동체를 떠나겠다는 의지도 꺾고 떠남마저도 허락하지 않는다. 결국 토박이 공동체 내에서 타자로전락할 수밖에 없는 소녀 자신을 발견하고는 탈출을 감행한다. 그 사회에서 성원권을 획득할 수 없는 개인이 할 수 있는 길은 탈출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녀는공동체의 기존 질서에 ‘다른 관점’의 질문을 던져 ‘균열’과 ‘틈’을 만드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반복적 배회’를 시도하며 ‘탈주’를 감행한다. 이때 그녀가 탈주를 실현시키기 위해 늪을 배회의 마지막 거점으로 삼는다. 그곳은 소녀에게 집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사람들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있어 자유를 찾아 탈주하는데 합당한공간이다. 결과적으로 소녀와 늪은 당시 낯선 근대를 바라보는 대표적인 기표로서상징화된다. 늪도 소녀처럼 ‘낯선’ 이방성을 지닌 바, 토박이 공동체에게 ‘다른 관점’을 끌어들여 ‘다른 주체’의 가능성을 타진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늪은 ‘다른주체’의 대안적 공간이며, 동시에 ‘다른 주체’로 추동되는 공간인 셈이다.
    이와 같이 집단-내-이방인으로 위치된 소녀는 토박이 공동체인 절대적 주체들의 위협을 무릅쓰고 자신을 성원권을 찾기 위해 인정투쟁을 벌인다. 물론 절대적주체인 태섭에게 소녀 자신의 성원권을 보장받지는 못했지만, 그 시도 자체가 중요하다. 이는 소녀가 주체적인 인간으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그녀는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 행동하는 여성으로 표상된다. 따라서 황순원 작품에 등장하는 주체적인 여성의 원형으로 인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girl’ in Hwang, Sunwon’s short story 「Neup」 has become an other person as a stranger of the group. The background of this story is colonial period during 1930s, covering the story of a girl trying to escape the periodic depressions of the time with her own method. The girl resisting to the historical reality is oppressed by both country and family,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women of the time. Also, she is an independent character making various efforts to find her own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and to be recognized of her membership. However, her position is decisively threatened by an absolute being of the community, Taeseop. The girl was a charming subject to Taeseop but physical and emotional limitations of him have turned her into the subject of fear, which alienated her as a stranger of the group. That is because he has to maintain masculine authority and power by preserving his absolute position of the community from the threat of the girl and others.
    Eventually, she realized that she had to be a stranger of the local community and attempts to escape. In the society, an individual who cannot secure membership has nothing else to do but escape.
    Therefore, the girl attempts to ‘escape’ by trying ‘repetitive wandering’ to create an opportunity to make ‘crack’ and ‘gap’ by throwing questions with ‘different perspective’ to the existing orders of the community. This indicates to seek the possibility of ‘other subject’ by drawing ‘different perspective’ into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ense, 「Neup」 is an alternative space of ‘other subject’ and also space driven into ‘other subject’ at the same time. The struggles for recognition by the girl, positioned as a stranger of the group, creates the opportunity for her to be an independent human being. This is the original form of an independent female appeared in the work of Hwang, Sunw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