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 프리들랜더(Lee Friedlander)의 뉴 다큐멘터리 사진과 1960년대 말의 미국 사회 (Lee Friedlander’s New Documentary photography within the context of the late 1960’s American socie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07.12
30P 미리보기
리 프리들랜더(Lee Friedlander)의 뉴 다큐멘터리 사진과 1960년대 말의 미국 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미술사연구 / 22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강인혜

    초록

    1960년대 말의 미국 사회는 자유와 번영으로서의 국가적 정체성이 무너지기 시작하고 사회, 문화적으로 혼란을 맞게 되는 이른바 ‘정신적 공황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는 미술사적으로는 사진이 미술계로 흡수되기 시작하며, 사진사적으로 보자면 다큐멘터리 사진 자체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이 변화하는 시기이다.
    리 프리들랜더 (Lee Friedlander ~) 는 이러한 60년대 말에 활동하면서 ‘새로운’ 다큐멘터리 작업을 주도하였던 작가이다. 그의 작업은 객관적으로 현실을 기록한다는 기존의 다큐멘터리적 특성은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개인적이고 사적인 표현과 형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라고 평가되어 왔다. 다시 말하면 뉴 다큐멘터리 사진은 50년대의 로버트 프랭크 (Robert Frank 1924~)와 윌리엄 클라인 (William Klein 1928 ~)에서 새작된 파격적인 형식과 기법을 이어받으면서, 일상적인 소재와 주제, 그리고 거친 프레이밍 방식, 흐린 초점등과 같은 새로운 형식을 제시한 사진들을 말한다.
    이 작가들 중에서도 특히 프리들랜더는 존 사코우스키 (John Szarkowski)의 후원과 뉴욕 근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개최된 <<뉴 다큐먼트 (New Documents, 1967>>전을 통해 뉴 다큐멘터리 사진으로 알려지게 된다. 그의 작업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특색은 기존의 다큐멘터리 사진이 가지고 있던 재현 구조 자체를 파괴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특색, 즉 기존 다큐멘터리적인 재현 구조 – 내러티브, 공간 - 의 붕괴를 MoMA와 사코우스키는 모더니즘 사진이라는 형식주의적인 논리로 바라보았지만, 본 논문은 프리들랜더의 뉴 다큐멘터리 사진을 ‘60년대말의 미국,’ 특히 뉴욕이라는 공간의 사회, 정치적 맥락 속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모더니즘 사진 이론은 MoMA의 사진부장이었던 존 사코우스키에 의해 전개되었던 논의로, 그는 사진이 미술관 내부로 편입됨에 따라 사진만의 매체적 특성과 예술 형식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리들랜더의 사진에 나타나는 형식적 측면은 이러한 모더니즘 사진에 관한 논의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프리들랜더의 사진에 나타나는 형식적 측면을 1960년대말의 사회적 상황과 다른 시각 미술에서의 재현 체계의 변화라는 맥락 속에 위치시키고자 하였다. 반전, 경제 침체, 인권 운동 등으로 기존의 가치 질서가 붕괴되기 시작하였던 당시의 사회적 혼란 상황은 시각 미술에서의 관람자와 이미지간의 관계, 공간 관계 등의 기존의 재현 체계 자체를 붕괴시켰다. 따라서 본 고에서늬 프리들랜더 사진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다큐멘터리 사진의 변화를 1960년대 말의 미국이라는 보다 넓은 시각으로부터 바라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Lee Friedlander’s New Documentary photography within the context of the late 1960’s American society. The New Documentary photography refers to the works produced by a group of free-lancer photographers under the influence of unconventional style and techniques conceived by Robert Frank and William Klein. Their works have been regarded as something new due to their personalized expressions while they were inheriting the features of the conventional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was the recording of the reality.
    Among these photographers, especially Lee Friedlander, with the support of John Szarkowski, solidified his status as modernist in the genre of documentary photography through <New Documents> (1967) exhibition held in the Museum of Modern Art. In this sense, this paper starts with the critique of Szarkowski’s position. Whereas Szarkowski defined Friedlander’s photograph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sm, this paper tried to explore his works within a larger social field of the late 1960s’s America. Therefore, if Szarkowski concentrated on the formal aspects of Friedlander’s works when analyzing their images, this paper rather discusses them in association with the larger social phenomenon, such as postmodernity, and the contemporary visual cultures.
    Moreover, this paper also notes how the new representation systems of New Documentary can challenge the photographic representation itself. If the representation systems of documentary photography is based on the totalizing vision of the perspectival space and the dominant position of camera’s eye, those of New Documentary photography never espouse the dominant position of camera’s eye. The perspectival space is no longer sustained, and the coherent narratives of the image cannot be read any more. With these features, this paper sought to investigate how these new representation systems can be read as the symptom of the shift in the society. The huge transformation in the late 1960s’ America led to the change in the viewer’s position and spatial relationship in visual cultures. From this perspective, the new representation systems of New Documentary photography can be deem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photographic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