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질랜드의 연동형비례대표제에 관한 비교법적 분석- 20대 총선결과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ixed-member proportional(MMP) in New Zealan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9.02
29P 미리보기
뉴질랜드의 연동형비례대표제에 관한 비교법적 분석- 20대 총선결과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20권 / 1호 / 181 ~ 209페이지
    · 저자명 : 황동혁

    초록

    정치 현상적 측면에서 고비용의 정치구조, 일부세력의 독단적 의사결정 행태, 비민주적 정당공천이 고착화되어 국회와 정당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최저점에 이르렀다. 유권자 역시 패권적 지역주의에 편승하여 정당별 지역집중 투표현상을 보이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정치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그 결과 국민의 의사는 왜곡되어 대표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대의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유력한 해법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연동형비례대표제이다.
    현행의 소선거구제 다수대표제는 승자독식의 방식으로 지역구선거에서 다량의 사표가 발생하는 것이 본질이고, 이러한 사표에 의하여 득표와 의석배분 사이에 비례성마저 맞아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소선거구제 단순다수대표제를 채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 현상으로 우리 선거제도가 가지는 본질적 오류는 아니다. 하지만 지역패권주의에 따른 투표행태가 가세하여 선거결과는 국민의 정당에 대한 지지와 균형관계를 상실하였고 대표의 민주적 정당성이 하락하는 결과에 이르렀다. 연동형비례대표제가 이러한 병리적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거론되는 것은 인물선거를 동반하지만 비례선거가 중심이 되어 정당의 득표율과 의석배분 사이에 높은 비례성을 견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우리의 현재 모습과 유사한 민주주의의 위기를 겪은 뉴질랜드는 선거제도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 끝에 1993년 국민투표를 통하여 소선거구제 다수대표제의 선거제도를 독일식의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전환하였다.
    본 논문은 뉴질랜드 방식의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국회의원정수의 변화에 따른 세가지 모형에 20대 총선결과를 적용한 모의분석 결과이다. 뉴질랜드의 선거제도는 독일과 달리 비례대표선거가 주별 권역 단위로 실시되는 것이 아닌 전국 단일 선거구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전국단위의 정당명부 작성방식을 중심으로 사표의 발생, 초과의 발생정도, 봉쇄조항의 설정,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에 관한 사항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In terms of political phenomena, high-cost political structure, arbitrary decision-making behavior by some forces, and undemocratic party nominations have stuck, bringing the people's confid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to a minimum. Voters, too, tend to take part in hegemonic regionalism to vote in regions by political parties, and on the other hand, are indifferent to politics. As a result, the people's opinions are distorted and represented. It is the interlock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hat is presented as a powerful solution to this series of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Under the current system of the majority representation of small constituencies, it is essential that a large number of resignations occur in local constituencies in the form of winners' self-righteousness, and even the proportionality between the number of votes and the distribution of seats will be equal. The problem is a common phenomenon that can be seen in the adoption of a simple majority of the small constituency system, not an essential error of the Korean electoral system. However, with the participation of voting behavior following regional hegemonism, the election result lost support and balance of the people's political parties and led to the decline in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leader. The reason why the interlock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s mentioned as a solution to this pathological phenomenon is that it is accompanied by the election of figures, but proportional elections are centered, thus maintaining a high proportionality between the party's winning rate and the distribution of seats.
    New Zealand, which has experienced a democratic crisis similar to our present one, changed its electoral system from a small constituency system to a German-style, interloc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hrough a referendum in 1993.
    This paper is a simulation analysis result of applying the results of the 20th general elections to the three models following the change in the number of lawmakers under the New Zealand-style interlock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Unlike Germany, the electoral system in New Zealand does not consist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s being carried out on a state-by-state basis, but in a single constituency across the country. In particular, it considered matters concerning the occurrence of a resignation slip, the degree of excess, the establishment of a blockade clause, and the recommendation of candidates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based on the method of preparing the party list by the national un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