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테러리즘 시대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새로운 모색 -‘Intelligence-Led Policing’을 중심으로- (New Thinking of Community Policing in New Terrorism Era: Focused on ‘Intelligence-Led Polic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09.12
30P 미리보기
뉴테러리즘 시대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새로운 모색 -‘Intelligence-Led Policing’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경찰학회보 / 11권 / 4호 / 347 ~ 376페이지
    · 저자명 : 이상훈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이 범죄에 대한 사후적 대응이 아니라 사전적 예방이 중요하다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서 전통적 경찰활동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최근에도 여전히 경찰활동의 중심철학임에는 틀림없다는 입장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지난 2001년에 있었던 911 테러 이후에 미국을 비롯한 서양의 여러 나라에서는 테러정보를 포함한 범죄정보의 사전획득에 비중을 둔 정보중심 경찰활동(intelligence-led policing)에 대한 논의를 통해 기존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재평가하면서 급변하고 있는 지역사회 환경에 최적의 경찰활동을 도출해 내기 위한 논의가 한창이다. 즉,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평가를 통해 경찰활동에서 상당부분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는 동시에,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911 테러 이후에 community policing의 원형을 정보화 시대의 환경에 부합하도록 변형 내지 적응시키는 몇 가지 연구 성과들을 내 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중심 경찰활동은 지역사회를 범죄정보원(犯罪情報源)으로서의 성격을 부각하여 각종 범죄정보 특히 테러정보를 획득하려는 관점에서, 기존의 지역사회경찰활동을 포용하는 보다 광범위한 경찰활동 철학이라고도 소개되고 있으며, 동시에 적지 않은 부분에서 지역사회경찰활동 철학의 몇 가지 핵심요소와는 상충하는 요소도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엇갈리는 시각 속에서 지역사회경찰활동 철학이 정보중심경찰활동과의 관계정립을 통해 보다 시대환경에 걸 맞는 새로운 역할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기본적 요건을 충족시켜 나가는 가운데 경찰활동 중 범죄관련업무의 비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면서 경찰서비스의 비중을 점차 확대해 나가는 경찰정책의 기조변화를 요구한다. 테러정보의 수집을 위해 종래의 방범심방을 다시 활성화하고, 정보분석능력을 향상하고 대테러활동에서의 지역주민들의 참여기회를 오히려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익명의 제보전화(crimestoppers)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경찰이 테러정보를 포함하여 범죄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다각화해야 한다. 이것이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새롭게 모색하여야 할 방향이라고 본다.

    영어초록

    The role of police has recently broken from conventional category and it is extending day by day. This extension is from the needs of citizen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paradigm in community policing. Contrary to conventional police activity, the role of community policing is not to response to the occurred crime rapidly but to realize society without crime.
    This study aims to challenge the dominant view of community policing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are fundamentally new. Community policing is needed to think newly because of the new aspects of terrorism, such as the transnational nature of the perpetrators and their organizations, their religious inspiration and fanaticism, their us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ir indiscriminate targeting. That is New Terrorism, which is the emergence of a new, religiously motivated terrorism that neither relies on the support of sovereign states nor is constrained by limits on violence.
    This study looks at 'Intelligence-Led Policing' - since 9ㆍ11 seen as one of the more positive contributions that policing can make to crime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Intelligence-Led Policing and identifies the key tenets of intelligence-led policing. Intelligence-led policing is a business model and managerial philosophy where data analysis and crime intelligence are pivotal to an objective, decision-making framework that facilitates crime and problem reduction, disruption and prevention through both strategic management and effective enforcement strategies that target prolific and serious offenders. Intelligence-Led Policing is a crime reduction strategy or operation as well as management tool.
    This study calls for more thorough conceptional investigations in order to appreciate truly new concept of Intelligence-Led Policing and could contribute on exploring the methods of advanced community policing in this intelligent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경찰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