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외국어 교수와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분석모형 (A Study on an Analytical Models of Online Tools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New N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3.02
28P 미리보기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외국어 교수와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분석모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59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권영숙, 최가연

    초록

    우리는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살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우리 사회는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유비쿼터스가 모든 분야로 확대되어 언제나 어디서 누구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고 또한 모바일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었다. 그리고 우리가 대학교육현장에서 만나는학습자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라고도 불리는 디지털 습성과 사고를 지닌 학습자들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대학교육은 Edu 4.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 교육과 네트워크가 접목된 새로운 교육형태가 도입되었다. 2020년 COVID-19 팬데믹 발생으로 전 세계적으로 교육영역에서 전면 비대면 온라인 강의, 부분적 오프라인 대면 강의 및 하이브리드형 강의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교육방식은 공통으로 온라인 도구 활용을 기반으로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도구 기반 비대면 교육은 향후 ‘뉴노멀’ 시대에더 확대될 것이라고 예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실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비대면 공간에서의 교육이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뉴노멀 교육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 외국어 수업을 위하여 온라인 도구의 활용이 확대된다는 가정하에 외국어 교수 및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선택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온라인 도구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프로토타입을 구축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도구를 다양한 관점과 측면 및 하위척도에서 살펴볼 수있도록 분석모형체계를 만들었다. 이러한 분석모형을 통해 교수자나 교육용 온라인 도구 개발자들이 온라인 도구의 특성 및 기능, 교수자 및 학습자들의 사용자 입장, 교육목표와 내용 등 다양한 교육환경 요인들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 온라인 도구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독일어를 비롯한 외국어가 더 효과적으로 교수와 학습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We liv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Over the past 20 years, our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digital society and ubiquitous computing has expanded to all fields. As a result, a new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where anyone can access the network at any time and any place with almost no restrictions. In addition, mobile devices have rapidly spread.
    The learners we meet in university education today have digital habits and thinking, They are the so-called "digital natives".
    On that basis,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has converted into a new paradigm, and a new form of education that combines education and network has been established. Due to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partially offline face-to-face lectures, and hybrid lectures that combine online and offline have been introduced and conducted. These educational methods are commonly based on the use of online tools. It is predicted that online tool-based non-face-to-face education will further expend in the future in our 'new normal' era.
    This study aimed at building a prototype model for an online tool analysis in order to help selecting online tool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is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in non-face-to-face spaces as well as in classrooms can be universal and general, and that the use of online tools will expand for effective learner-centered foreign language classes in this "new n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To make this possible, categories were set up by observing online too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spects and subscales, wih the helb of this analysis model, instructors or developers of educational online tools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online tools, the viewpoint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Based on this, the suitability of online tools for classes can be evaluated, as well. Through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foreign languages including German can be taught and learned more eff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