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미디어의 정치경제학:영화의 발명과 감각의 경제 (A Proposal for the Political Economy of New Media:The Invention of Cinema and the Economy of the Sens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뉴미디어의 정치경제학:영화의 발명과 감각의 경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28호 / 43 ~ 70페이지
    · 저자명 : 안성용

    초록

    본 논문은 영화의 정치경제학에 대한 이론적 제안이다. 맑스의 정치경제학은 화폐가 교환가치의 표상으로 기능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시작된다. 화폐는 특정한 상품의 생산에 투여된 노동력의 양을 표상함으로, 상이한 상품형식들 사이의등가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영화의 정치경제학은 맑스의 이론에서 ‘화폐’, ‘상품’,‘노동력’의 위치에, 각각 영화가 (재)생산한 ‘인지형식들’, 약호로서 ‘뉴미디어’, 그리고대중의 ‘인지’를 대입한다.
    지가 베르토프는 영화적 테크놀로지의 작동이 지각된 세계를 동역학적 에너지들의“간격”으로 분석한다고 말한바 있다. 반면 에이젠슈타인은 영화적 인지가 이 동역학적간격들을 하나의 지각으로 가공(몽타주)하는 신경계의 작동으로부터 생산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논의는 1/24초의 간격으로 점멸하는 영화의 이미지들이 ‘지각된 세계’와‘지각하는 주체’ 양자에 미친 영향을 암시한다. 영화의 작동에 의해 물리적 지각장은감각적 미립자들의 정신분산적 평면으로 현상하며, 주체의 인지는 이 미립자들이 기계적, 생리학적 재배열로 이해된다. 이 재배열-인지를 카메라-영사기와 접속한 신경계의 노동으로 간주한다면, 영화가 산출한 인지의 새로운 형식들은 이 노동의 생산품이다. 영화의 정치경제학은, 전통적 지각장을 감각적 미립자들로 ‘청산’하는 카메라의작동과 이 미립자들로부터 새로운 인지형식이 ‘종합’되는 영사의 과정, 그리고 이 분자적 감각들로부터 주체의 인지능력과 욕망이 ‘재생산’되는 과정을 서술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a theoretical proposal for the political economy of cinema. Marx began his political economy by analyzing money’s function as the representative of exchange value, which measures the amount of labor power invested in the production of a commodity. In the political economy of cinema, the positions of money, commodity, and labor in Marx’s theory correspond to cinema as media,cognitive forms produced by cinema, and cognition as labor.
    Dziga Vertov said that a movie camera analyzes the perceived world into interrelated intervals of sense elements, while Eisenstein studied the cinematic cognition as a kind of neural activity which physiologically rearranges these intervals. What their arguments imply is that cinema’s analytic operation, which converts a perceived object into an array of molecular sensations and let them flow through viewers’ nervous system, has changed the socio-historical structure of human field of percep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amera and projector, the physical side of perceptual field has been exposed as a phenomenological horizon filled with distracted sensations, and the cognition as a conscious process has began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neural exchange and rearrangement of sensations in reflexive circuits of a nervous system. If this rearrangement can be considered a sort of labor that a nervous system connected to technologies performs, we could regard the cognitive forms yielded by cinema as the products of this laboring.
    The political economy of cinema describes how the movie camera has liquidated the traditional field of perception into sense elements exchangeable between machines and human nervous systems, how the projector has synthesized them into new cognitive forms, and how the human subjects of cognition and desire has been reproduced from the mechanic and neural rearrangements of sensations in thea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