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노멀시대 도시공원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 Planning in the New Normal Er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1.04
12P 미리보기
뉴노멀시대 도시공원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3호 / 353 ~ 364페이지
    · 저자명 : 권성은,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뉴노멀은 기존의 가치에 대치되는 새로운 기준을 뜻하는 용어로, 제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변화, 저성장, 기후변화 등을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파생되는 사회변화와 문제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유연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도시공간 또한 전환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재조정이 요구된다. 도시공원은 라이프스타일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공간으로, 변화에 따른 다양하고 복합적인 활용이 가능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뉴노멀시대 새로운 공공가치의 반영을 위한 도시공원 계획특성을 연구하여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먼저 문헌 및 인터넷을 통해 뉴노멀 시대를 이끄는 4가지 주요요인을 추출하고 심층 분석하여 연관 관계를 파악, 뉴노멀 시대의 특성과 대응방향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시대변화에 따른 도시공간의 변화 및 공원의 기능에 대해 이론적 고찰하고 도시공간의 변화가 기존 공원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여 계획특성(안)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획특성의 적합성 여부와 뉴노멀시대 대응방향과의 연관성을 검증하고 분석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결과)분석모형의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최근에 조성된 지역권 근린공원 2개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공원 모두 충분한 부지와 계획적인 조성, 관리체계가 구축되어 뉴노멀시대 공원 계획특성의 전반적인 척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상호지원성 중 첨단성, 유연성은 공통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과 관계된 보건성, 대응성, 환경성은 방재, 식생 등이 부족한 도심 선형공원이, 도시포용성과 관련된 접근성, 지역성은 도시외곽 공원이 낮게 분석되어 지형적 입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결론)도시공원은 사회구성원을 수용하는 생활의 연장공간으로, 뉴노멀의 시대 변화된 가치관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시대변화 요인을 기반으로 접근하여 도시공원의 계획특성을 제시한 연구로, 상호지원성, 회복탄력성, 도시포용성 확보 측면에서 뉴노멀시대 도시공원의 조성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활용 시 기존 공원의 시대 변화의 수용여부 및 보완이 필요한 미흡한 특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공원 재정비 설계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New normal is a term that refers to a new standard that contrasts with existing values, and the main factors of it includ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mographic change, low growth, and climate change. Accordingly, a comprehensive and flexible response to social changes and problems is required.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is emerging as they can be used in various and complex ways depending on the lifesty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pe with the ongoing change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to reflect the new public values of the New Normal Era. (Method) First, in this study, four main factors that lead the New Normal Era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and the Internet, and th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y in-depth analys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Era and countermeasures. Next, the change in urban space due to the change of times was theoretically considered for the function of the park an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plan) were derived by analyzing whether the change in urban space could meet the existing park functions. An expert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New Normal Era response direction and to materialize them into an analysis model. (Results) Two recently created neighborhood park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sis model. As a result, both parks had sufficient land, planne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ystems, resulting in high overall measurements of the park's planning characteristics in the New Normal Era. Both parks lacked high-tech and flexibility among their mutual supportability. Urban linear parks lacked disaster prevention and vegetation, resulting in low levels of health, responsivenes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resilience, while urban outer parks had low accessibility and locality related to urban i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rrain and location of the park. (Conclusions) Urban parks shall be created as spaces to accommodate the changed values of the New Normal Era. Based on the overall factors of time change, the study present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which derived the direction of urban parks in the New Normal era in terms of mutual support, resilience, and urban inclusion. The analy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useful for park maintenance design as it can identify the acceptance and complement of existing parks in advance. The analy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useful for park maintenance design as it can identify the acceptance and complement of existing parks in adv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