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웹컨텐츠의 가능지평 (Possibility of new media storytelling and web cont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7.08
29P 미리보기
뉴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웹컨텐츠의 가능지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한인문학연구 / 1권 / 1호 / 151 ~ 179페이지
    · 저자명 : 허혜정

    초록

    웹컨텐츠는 웹공간과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스낵컨텐츠의 형태를 취하며 SNS 공유(바이럴)를 점화시킬 수 있는 소재와 모티프, 가벼운 이야기를 주로 다룬다. 개인들이 제작한 무수한 웹컨텐츠들이 있지만 전문업체들에 의해 생산되는 웹드라마와 웹툰의 경우를 통해 보면, 이윤을 창출하려는 기업과 포털, 방송사 등의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작업 경향이 뚜렷하다. 그것은 스트리밍되는 매체에 따라 텍스트 형식이 변주되고 장르도 다소 혼성적이다. 웹컨텐츠는 드라마나 소설, 희곡같이 특화된 근대의 쟝르영역과는 상당히 달라서 ‘이야기’, 혹은 패턴과 모티프에 초점을 맞춘 합성미학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웹컨텐츠는 패턴이나 소재, 모티프가 다소 유형적이지만 표현의 심의와 규제가 느슨해서 상업적 마케팅의 통로로 자주 활용된다. 사실 어떤 소리와 영상이미지도 문학이 표방하는 비판적 사유나 언어의 기능을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웹컨텐츠의 가벼움과 상업성, 통속성은 태생적인 한계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끝없이 지루해진 글공간을 떠나는 독자들을 매혹하는 웹컨텐츠는 뉴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주된 표현양식이라는 점에서, 제한된 소비시장에서 고투하고 있는 문학의 새로운 실현의 통로로서 주목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Web content takes the form of web space and snack content optimized for mobile devices, and deals with materials, motifs, and light stories that reflect popular trends that can spark SNS sharing. There are countless web contents produced by individuals, but through Web dramas and webtoons produced by professional companies, there is a tendency to produce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that want to make a profit, portals and broadcasters. It varies in text format depending on the medium being streamed and is somewhat hybrid in genres. Web conten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specialized genre areas such as dramas, novels, and plays, so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from point of view of Synthetic aesthetics focused on story pattern motifs'.
    Web contents are often used as a channel for commercial marketing because patterns, materials and motifs are somewhat stereotyped, but deliberation and regulation of expression are loose. In fact, the lightness, commerciality, and commonality of web contents are inevitable limitations because any sound and image images do not completely substitute the critical reason or language function of literature. However, web content that attracts readers who leave the endlessly tedious space is the main expression form of new media storytelling, so it is worth noting as a channel for the new realization of literature struggling in a limited consumer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