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etic friendship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 the era of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1.12
33P 미리보기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1호 / 187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상일

    초록

    이 논문은 선조 ․ 광해군대의 文人士大夫와 佛僧이 시를 매개로 교유했던사정을 고구한 것이다. 특히 그 시대의 대표적인 문장가 李廷龜와 시인 李安訥의 시문집에 들어 있는 불승 관련 시문을 통해서 그들의 불승들과의 교류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儒家士大夫들은 朱子性理學적 지배이념으로 불승을 이단으로배척하였다. 그러면서도 국가의 토목사업과 전쟁터는 물론 종이 제조와 같은생산 현장에까지 불승들을 동원하였다. 따라서 지배층인 사대부와 일반 민중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불승 사이에 평등한 만남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런데 16세기 말 선조 때 일어난 임진왜란은 이러한 儒家와 佛家 사이의 관계를개선토록 했다. 그것은 이전에 없었던 대규모의 왜란을 당해서 西山, 四溟 등과 같은 義僧將이 크게 활약하였고 전후 복구 사업에서도 불승들의 역할이컸기 때문이다. 유가사대부들은 이전과 달리 불승들에 대해 얼마간 관용의태도를 보였다.
    한편, 선조 ․ 광해군대는 시인 ․ 문장가가 많이 배출된 ‘문장의 시대’였다. 三唐과 四大家, 二才가 나와서 문명을 떨친 시대였다. 그런데 이들 文人士大夫의 시문집에는 이전에 비해 불승들과 교류한 시문이 쉽게 발견된다. 이런 점은 이들과 불승들이 시문을 매개로 교류의 폭을 넓힌 것임을 뜻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당대의 문인사대부의 표본인 이정구와 이안눌의 불승 관련 시문을 고구하여 불승과의 교유를 살펴본 것이다.
    이정구는 불교와 불승에 대해 탐닉하지 않았지만 배척하지도 않는 중용적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다만, 高僧과 詩僧이 있다고 하면 적극 찾아가 교유하였다. 그는 서산, 사명, 靑梅, 雙翼 등과 교유했는데 이들은 모두 임진왜란때의 義僧將이다. 특히 이정구는 서산, 사명과 청매 등의 고결한 인품을 깊이사모하였다. 때문에 서산의 비문을 지었고 사명의 처소를 찾아가서 시를 酬唱하였으며 청매의 문집에 서문을 지어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전쟁과 그 복구 사업으로 고통을 받는 불승들의 처지를 동정하고 시를 지어 주어 위로하였다.
    이안눌의 시문집에는 불승 소재의 시가 300여 수가 실려 있다. 이들 시편에서 그의 불승에 대한 태도와 그들과의 교유의 내막을 잘 알 수 있다. 이안눌이그들에게 주거나 수창한 시를 보면 그가 불승들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로 교유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막하를 수시로 드나드는 수많은불승과 禪談을 나누며 우의를 다졌다. 특히 시승인 希安, 守初, 沖徽 등과는교유가 깊었다.
    이상에서 문인사대부인 이정구와 이안눌이 불교와 불승을 배척하기는 보다는 오히려 관용적인 태도로 대우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그들이 시를매개로 불승들과 친밀하게 교류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정구나 이안눌과 같은 문인사대부들이 불승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었던것은 선조 ․ 광해군 시대에 불승들이 크게 활약했던 사정과 맞물려 있었음도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arries the topic that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terrelate through the exchange of poems in the era of King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Especially, It is focused on how they interrelated through the literary works related with monks written by the typical writer Lee Jeong Gu(李廷龜) and the poet Lee Ann Nul(李安訥) at the era of the King Seon Jo and Kwanghae Gun.
    Noblemen excluded monks as the heretics while they were insisting the theory of Juja’s Neo - Confucianism(朱子性理學) that they must more study the Confucianism than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y forced them to participate to public works and works. They even imposed them to pay a tribute such as paper. Therefore, there was never the friendship between noblemen and monks who were treated humb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reformed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1592. Because the Uiseungjang(義僧將) the monk who fights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such as Seosan(西山) and Samyung(四溟) repelled the Japanese army. They also made many efforts at restoring their homeland. Then, noblemen treated them tolerantly. Particularly, they give and take some poems with the intelligent monks or the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Meanwhile, this era is called ‘Literary Generation’ when many writers and poets emerged such as Samdag(三唐), Sadaega(四大家), Leejae(二才). But their literary works that had been given to monks were discovered more easily than those that had discovered before. That means the noblemen and monks improv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exchanging their works.
    Therefore, this manuscript has an eye this point and carries the literary works of Lee Jeong Gu(李廷龜) and Lee Ann Nul(李安訥).
    Lee Jeong Gu didn’t exclude and indulge in Buddhism. But He always met prominent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He also had a good friendship with Seosan, Samyung, Chungmae(靑梅), Ssangik(雙翼) who they had been the Uiseungjang(義僧將)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Especially, he respected their personality. Then, He inscribed a Seosan’s epitaph, met Samyung to give him a poem and write a preface to Chungmae’s works. He also wrote some poems out of pity monks who had tried to restore their country.
    His works is dealt with things related to monks and is estimated about 300 works. We can easily understand about friendship between he and monks through his works’ meaning. He especially got along with HeeAnn (希安), SueCho(守初), Chungwhee(沖徽). We can know that he was kind to them tolerantly through his works that he had given them.
    Finally, we can understand Lee Jeong Gu and Lee Ann Nul treated Buddhist and monks generally more than they excluded them, and know that they had a relation through their poems. Likewise, the friendship between monks and literary noblemen is able to be related to true that the monks fought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in 159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