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Issu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0.08
18P 미리보기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49호 / 37 ~ 54페이지
    · 저자명 : 이복규

    초록

    이 글은 '기억과 담론'이라는 기획주제 아래 가졌던 학술대회 기조강연 원고이다. 국문학 연구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 동안 연구했거나 착상해 본 것들을 중심으로, 그 사례들을 적시해 보임으로써, '기억과 담론'이란 눈으로 국문학 현상을 바라보았을 때 어떤 유익이 있는지 드러내 보았다. 국어학이나 국어교육 쪽의 문제들에 대해서는 각주 속에서만 아주 간략히 언급하였다.
    첫째, 구비문학의 경우, '정본'이 없거나 확립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각편만이 현존하는 텍스트라는 특성을 지니는데, 그 각편의 생산에 '기억'이 게재되어 있으며, 전승자의 '담론성'까지 작용한다는 점을 환기하였다. 그 사례로서 <동명신화>의 존재가 망각되어 <주몽신화>의 각편으로 여겨진 현상부터 들었다. 신화에서 민담으로 바뀌는 등 구비문학 갈래가 전환하는 데도 '기억과 담론'의 요소가 작용하고 있으며, 생애담 진술에서도 똑같은 사건을 경험했다 할지라도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상이한 반응과 진술을 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둘째, 고전문학의 경우, 고소설과 고전시가의 이본이 파생되어 존재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억과 담론'이라는 시각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고소설을 예로 들어본다면, 왜 고소설의 이본이 발생하는지, 특히 미묘한 변화들이 왜 일어나는지 밝히지 못했는데, 귀로 들었던 내용을 기억했다가 필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주장하였다.
    셋재, 현대문학의 경우, 고려인 작가가 강제이주를 소재로 하여 쓴 희곡 <기억>의 사실성 시비와 관련하여, 왜 이런 시비가 생겼는지, '기억과 담론'의 측면에서 진단하였다. 고려인 작가와 연구자가 서로 다른 기억 및 담론을 근거로 하다 보니 말미암은 것으로 보았다. 사라진 신소설 가운데 일부가 구전설화로 전환하여 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다른 신소설 작품들의 행방을 추적하는 새로운 시각을 열어보였다. 아울러 실전(失傳) 고전문학 작품들도 어쩌면 민요를 비롯하여 다른 갈래로 전환하여 전승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 주시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기타 국어학 또는 국어교육 분야의 연구거리로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국어교재를 '기억과 담론' 측면에서 비교연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쥐뿔도 모른다'는 속담의 어원도 그런 시각에서 접근해 볼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영어초록

    This is the manuscript for the keynote speech delivered at the conference the chosen topic of which was ‘Remembrance and Discourse.’As a researcher specializing in Korean literature, I put forth the possible benefits that might result from seeing the phenomena from the vantage poin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by drawing on what I have studied or come up with as ideas and by exemplifying the instances.
    Regarding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 just briefly referred to the issues in the footnotes only.
    Firstly, oral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either lack of a ‘canon’ or being impossible to establish the ‘canon’ along with a few separate versions, and this is where ‘remembrance’ make its way in to produce the texts while the ‘discourse strategy’ of the transmitters of oral tradition is in order. Take Jumong myths for an example: as Dongmyeong myths had not been able to find their proper places in the oral tradition they finally became identified with fragments of Jumong myths. In terms of oral genre transfer including the change from a myth to a legend, the forces that comprise ‘remembrance and discourse’ are also at work.
    Autobiographical tales also undergo the similar text-forming pattern in that the self-same event can be clothed in different responses and statements depending on who tells the story.
    Secondly, old Korean literature requires a viewpoint based on ‘remembrance and discourse’ as well, so as to properly understand the existence of different versions for old Korean novels and poems. As to the novels, some issues are still in debate including why there exist different versions of old Korean novels or why the delicate changes are found among the variants. My suggestion was that it is most likely due to the transcription process where the transmitter copies later on what he has heard from the other transmitter, aided solely by his memory. I provided specific examples.
    Thirdly, as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I examined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why the debate was brought up as to the proof of factivity with regard to the play “Remembering” written by a Koreo-in author on the theme of forced migration. It was presumed that part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searchers was due to different remembrance and sources. I also suggested taking a new angle toward tracing the lost works of Sinsoseol, namely, ‘New Novel’ by drawing an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me of these novels are being transmitted orally. Moreover, some of the old Korean literary works that are now deemed lost might have been transmitted in such different genres as minyo or folk ballad.
    In relation to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 proposed that Central Asian Koreo-ins’ school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be studied comparatively in terms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as well as the etymological origins of such old sayings as ‘jwibbuldo moreun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전